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y Lives of the Elderly and Relevant Variables
ABSTRACT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elderly living in Gunsan City, with their family relations, health, economic status, and social activ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f-realization and peace of mind as parameter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ppy lives of the elderly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actors that influence a happy life are as follow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was found that family relations, health, economic status, social activities, self-realization, and peace of mind positively affect their happiness. This means that improving family relations, health, economic standards, social activities, self-realization, and peace of mind lead to a happier life.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each variable's influence on a happy life, peace of mind came first, followed by self-realization, social activities, family relations, health, and economic status.

KEYWORD
노인 , 행복한 삶 , 자기실현 , 마음의 평화
  • Ⅰ. 서론

    최근 의학의 발달과 식생활의 향상으로 노인의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노인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2000년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7%를 넘어 UN이 정한 고령화사회에 들어섰으며 2013년 11.8%로 고령사회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또한 1960년 52.4세였던 평균수명은 2012년 OECD 평균보다 높은 81.4세로 80세를 넘겼다[32]. 이처럼 인생주기에 있어 노인으로 사는 시간의 비중이 커지면서 어떻게 하면 활기찬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인인구 증가와 노년기의 장기화에 따라 노년기의 행복한 삶과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년기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 소득보장, 가족관계, 여가활동, 종교활동 등을 다룬 연구들[8, 11, 17, 22, 25]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행복한 삶과 관련된 부분적 요인들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다루고 있을 뿐, 이러한 요인들이 노인들의 삶 전체, 특히 행복한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다루고 있지는 않다. 즉 위의 연구들은 노인의 삶 전체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다.

    노인의 삶 전체를 포괄적으로 분석한 Rowe와 Kahn[31]의 성공적 노화의 관한 연구의 영향을 받아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들[14, 34]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노인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삶의 목표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성공적 노화를 다룬 연구들은 성공적 노화의 요인으로 신체적 노화, 심리적 노화, 사회적 노화를 선정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신체적 노화, 심리적 노화, 사회적 노화가 노인의 행복한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행복한 삶의 정도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노인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한 삶이며, 행복한 삶 영향요인 연구가 노인들이 원하는 삶에 좀 더 포괄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노인의 행복한 삶, 특히 행복한 삶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노인의 행복한 삶 영향요인을 다룬 연구들의 경우 건강, 경제수준, 가족관계 등 개별적인 요인들과 행복한 삶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들[1, 20, 21]이 있을 뿐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사용된 가족관계(부부관계, 자녀관계), 건강(신체건강, 정신건강), 경제수준(소득, 재산), 사회활동(교우관계, 여가활동, 종교활동)을 독립변수로 하고, 여러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 또는 행복한 삶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자기실현(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자아성취감)과 불경, 성경 등 여러 경들에서 행복한 삶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마음의 평화(자기수용, 마음의 안정)를 매개변수로 한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통해 행복한 삶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다른 연구와의 차별성 및 주요내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한 삶 영향요인을 포괄적(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인을 포함시켜), 체계적으로 분석한 개척적 연구이다. 노인의 행복한 삶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종교학분야에서는 미미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사회복지학분야에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행복한 삶 영향요인을 다룬 기존 연구들의 경우 건강, 경제수준, 가족관계 등 개별요인이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룰 뿐, 이러한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여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전문한 상태이다.

    둘째,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한 삶 영향요인을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며, 행복한 삶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음의 평화와 자기성취를 매개변수로 사용하고, 가족관계, 건강, 경제수준, 사회활동을 독립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매개변수로 자기실현과 마음의 평화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포괄적, 다면적으로 파악하여 노인들의 행복한 삶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은 다중회귀분석보다 변수 간의 다양한 영향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경로분석보다 변수의 정오차를 더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 행복 영향 관련 이론

    행복의 개념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Socrates는 ‘행복을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상의 상태로, 모든 것이 충족된 상태’라고 하였으며, Aristoteles는 ‘행복은 최고의 선이며, 궁극적인 목적이므로 다른 어떤 것보다 추구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21].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 중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마음의 평화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사성제 및 팔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성제란 불경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제(諦)는 진리‧진실의 의미이며, 그 진리가 4가지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여 사성제라고 한다. 사성제는 미혹의 세계와 깨달음의 세계의 인(因)‧과(果)를 설명하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리로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네 가지 진리를 말한다.

    먼저 고(苦)의 진상을 설명하고, 고의 원인을 규명한 다음, 고가 소멸된 상태의 목표를 설명하고, 고의 소멸에 이르는 수행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인간이 고통 속에서 허덕이게 되는 것은 근본적으로 그 원인이 자신과 세계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이로 인해 원만구족한 자기주체인 청정한 마음을 잃고 헛된 욕망의 노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23].

    이러한 사성제에 기반하여 법구경 제1장은 “마음이 모든 것의 주인이다. 마음이 주인이 되어 모든 것을 시키나니 우리는 마음을 통해 세상을 만든다”고 기술하고 있다. 많은 불교서적들은 이러한 경들의 말씀에 바탕을 두어 인간의 행복은 바로 마음이 편할 때 오며, 마음의 평화는 행복의 전제조건이라고 설명하고 있다[3].

    이를 종합해보면 인간은 누구나 다 깨달은 자가 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존재로 스스로 괴로움에서 벗어나 해탈할 수 있으며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데 행복한 삶은 마음의 평화를 가질 때 올 수 있다는 것이다.

    팔복은 기독교의 교리인 성경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팔복의 복(福)은 믿음이 전제되는 것으로 심령이 가난한 자, 애통하는 자, 온유한 자,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 긍휼히 여기는 자, 마음이 청결한 자, 화평하게 하는 자,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은 자는 복을 받는다는 것이다.

    팔복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서두에 지복(至福)과 비유의 말씀들이 서술되고 있는데 ‘지복’은 ‘축복받은’, ‘행복한’을 뜻하는 라틴어 ‘beatus’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 복의 의미는 인간적인 복의 개념과는 다른 의미로 세상적인 성공과 부귀, 영화와는 거리가 있다. 산상 수훈에서 언급하고 있는 복은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복이 아닌 인간으로 하여금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참 복을 말한다. 즉, ‘행복하여라’고 말씀하신 것은 궁극의 행복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복만이 참 복이며, 행복을 줄 수 없는 것은 참 복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참복은 본인의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느냐에 달려있으며, 곧 마음을 잘 다스려 마음의 평화를 얻을 때 행복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24].

    따라서 성경에서의 복은 육신의 복이 아닌 마음의 평화, 자기희생과 자기비움, 영적 충족을 통한 만족감과 행복함을 의미한다.

    사성제와 팔복은 비움, 자기수용, 마음의 안정을 통한 마음 다스림, 즉 마음의 평화가 행복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2. 선행연구 검토

    1) 자기실현 및 마음의 평화와 행복

    자기실현은 ‘자신의 능력이나 개성을 발달시키거나 발휘하는 일’을 의미하며, 마음의 평화는 ‘자기자신의 감정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심란하지 않은 마음의 상태인 평정심’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의 평화 및 자기실현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며[28], 생의 의미 수준이 높을수록, 생의 목적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삶에 대한 욕구가 강할수록, 자기효능감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9]. 또한 인생에 대한 명확한 목표가 있을수록, 싫은 감정을 가지는 경우가 적을수록,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싫다고 느끼는 경우가 적을수록, 자신에게 실망하는 경우가 적을수록, 어떤 일에 적절한 판단력으로 대처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일상을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는 자기실현과 마음의 평화가 행복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가족관계와 행복

    가족관계는 모든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관계로서 전면적이고 영구적이고 정서적이며 연대 책임과 애정으로 연결 지어진 관계를 의미한다. 가족관계가 노인의 행복,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은 노인독신가구보다 노인부부가구가 높았으며, 가족관계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 또한 배우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배우자중심형, 자녀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자녀중심형, 자녀・배우자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는 무관계형 중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배우자중심형에서 가장 높은 반면, 무관계형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지지를 받지 못하는 노인에 비해 배우자지지나 자녀지지를 받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의미이다[18].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노인은 부부관계와 자녀관계에 만족할수록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건강과 행복

    Kim과 Hwang[12]은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노인 105명과 도시에 거주하는 남녀 노인 103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노인의 경우에만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 노인의 경우 건강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Gwak[20]은 전국 2,500개 가구 중 50세 이상 64세 이하의 예비노인과 65세 이상의 노인 1,645명을 대상으로 예비노인과 노인의 행복함과 가정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복의 수준은 남성의 경우, 월평균 가계소득이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와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높았으며, 예비노인이 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노인의 경우 건강할수록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4) 경제수준 및 사회활동과 행복

    경제적 및 사회적 활동은 생계유지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 상실에서 오는 상실감을 완화시켜주며 사회참여를 통해서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만족감을 증진시켜 보다 안정되고 행복한 삶을 누리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수준 및 사회활동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경제적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총가계 소득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수준의 집단별로는 저소득 가구에서는 남성에 비해 여성인 경우, 고소득 가구에서는 취업 상태인 경우 생활전반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0]. 또한 취업여부, 총 월수입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자가 미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총월수입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22].

    종교가 있는 사람이 종교가 없는 사람보다 노인의 총체적 삶의 질, 삶에 대한 만족도,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16], 동창회, 향우회, 종친회와 같은 연고집단 참여와 문화 및 여가활동 모두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는 경제수준 및 사회활동이 노인의 행복한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여 노인의 행복한 삶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에 대해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모형은 Figure 1과 같다.

    위의 연구모형을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실현은 마음의 평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자기실현은 행복한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마음의 평화는 행복한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마음의 평화는 자기실현과 행복한 삶을 매개할 것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군산시의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노인대학 및 읍・면・동 자치센터의 노인복지프로그램을 이용하시는 60세이상의 노인들에게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4년 현재 군산시에 설립・운영되고 있는 노인복지관 2개, 사회복지관 3개, 노인대학 4개, 읍‧면‧동 자치센터 27개 중 노인복지관 2개, 사회복지관 2개, 노인대학 3개, 읍‧면‧동 자치센터 10개를 선정하였다. 사용된 표집기법으로는 집락표집으로 대상기관을 선정한 후 해당기관에서 대상자를 무작위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1,200부의 설문지를 집합조사와 배포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는 2014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배포된 1,200부 중 회수된 설문지 1,067개 중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편향되어 있는 설문지 13부를 제외한 1,054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조사도구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일반적인 문항, 본 연구의 이론 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삶의 만족, 생의 즐거움, 자기실현, 마음의 평화, 가족관계, 건강, 경제수준, 사회 활동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 종속변수

    ① 삶의 만족

    삶의 만족 척도는 Neugarten 등[27]이 개발한 LSI-A의 척도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927로 나타났다.

    ② 생의 즐거움

    생의 즐거움 척도는 Stones와 Kozma[33]가 만든 MUNSH 척도를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생의 즐거움이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935로 나타났다.

    2) 매개변수

    ① 자기실현

    자기실현은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자아성취감 3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되었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30]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아효능감 척도는 Tipton과 Worthington[35]이 개발한 것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아성취감 척도는 Kim 등[15]의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자아성취감이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각각 .914, .909, .928로 나타났다.

    ② 마음의 평화

    마음의 평화는 자기수용, 마음의 안정 2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되었다. 자기수용 척도는 Kim과 Kim[13]의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마음의 안정 척도는 Jang[2]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수용과 마음의 안정이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각각 .908과 .909로 나타났다.

    3) 독립변수

    ① 인구학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 2개의 변수로 구성되었다. 성별은 남자와 여자의 범주를 갖는 비연속적 변수로 사용하였다. 연령은 만 몇 세인가로 조사했으며, 연속적변수로 사용하였다.

    ② 가족관계

    부부관계 척도는 Yu[36]의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녀관계 척도는 Im[7]의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다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관계와 자녀관계가 좋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각각 .941과 .940로 나타났다.

    ③ 건강

    건강은 신체건강, 정신건강 2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되었다. 정신건강 척도는 Derogatis와 Cleary[4]가 개발한 간이정신진단감사(SCL-9-R)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매우 그렇다’의 1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이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각각 .923과 .951로 나타났다.

    ④ 경제수준

    경제수준은 소득, 재산 2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되었다. 소득 및 재산은 만원 단위로 조사했으며, 연속적 변수로 사용하였다.

    ⑤ 사회활동

    사회활동은 교우관계, 여가활동, 종교활동 3개의 측정변수로 구성되었다. 교우관계 척도는 Gill[5]의 척도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여가활동 척도는 Park[29]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을 본 연구에 맞는 내용만 발췌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종교활동 척도는 Nam[26]의 척도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다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우관계, 여가활동, 종교활동이 높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Cronbach's ɑ 값은 각각 .917, .936, .981로 나타났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과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8.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부부관계, 자녀관계, 신체건강, 정신건강, 소득, 재산, 교우관계, 여가활동, 종교활동,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자아성취감, 자기수용, 마음의 안정, 삶의 만족, 생의 즐거움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행복한 삶 영향요인을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 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분석 시 각 변수들의 정규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왜도(skew)와 첨도(kurtosis)를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주요변수들의 기술적 분석

    먼저 각 변수들의 정규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왜도(skewness)와 첨도(kartosis)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 측정변수들의 왜도와 첨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모든 변수에서 왜도의 절대값이 2이하이고, 첨도의 절대값이 4이하여서 정규분포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

    ]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label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2.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본 연구에 사용된 개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독립변수의 측정변수들과 종속변수의 측정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독립변수의 측정변수들 모두 종속변수의 측정변수와 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label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다음으로 매개변수의 측정변수들과 종속변수의 측정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매개변수의 측정변수들 모두 종속변수의 측정변수들와 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측정변수들과 매개변수의 측정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독립변수 측정변수들이 모두 매개변수의 측정변수들과 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수의 측정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기실현의 측정변수가 마음의 평화 측정변수 모두와 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독립변수의 측정변수들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녀관계와 소득, 신체건강과 재산, 정신건강과 종교활동만 유의미한 관계가 없으며, 다른 모든 측정변수들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모형의 적합도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델을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모델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모형의 적합도를 판정하기 위한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다.

    [

    ] Model Fit Indices

    label

    Model Fit Indices

    Table 3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조방정식모델이 대한 절대 적합지수의 경우 X2값(X2 =436.502, df=84)에 대한 p값이 .000으로 기준치(≥0.05)보다 낮게 나타나 분석모델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그러나 표본수가 크면 X2값이 커져 p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p가 0.05보다 작더라도 부적합으로 판정하기 보다는 다른 지수들에 의해 적합도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개략오차제곱평균의 제곱근(RMSEA)은 X2보다 표본크기의 영향을 덜 받는 적합도 지수인데, 그 값이 0.063으로 기준치(≦0.05)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는 0.952로 기준치(≧0.9)를 충족하며, 비표준적합지수(TLI)는 0.944로 기준치(≧0.9)을 충족하고, 상대적 적합지수(CFI)는 0.961로 기준치(≧0.9)을 충족해 구조방정식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이 증분적합도 지수는 충족했지만 절대적합지수를 충족하지 못해 모델 수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수정모델 적합도 분석결과 Table 4와 같다.

    [

    ] Modified Model Fit Indices

    label

    Modified Model Fit Indices

    절대적합수의 경우 X2값(X2=281.160, df=83)에 대한 p값이 .000으로 기준치(≥0.05)보다 작아 적합도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략오차제곱평균의 제곱근(RMSEA)값은 0.048로 기준치(≦0.05)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는 0.970으로 기준치(≧0.9)를 충족하고, 비표준적합지수(TLI)는 0.968로 기준치(≧0.9)를 충족하며, 상대적적합지수(CFI)는 0.978로 기준치(≧0.9)를 충족해 수정모델2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4. 최종모델 분석

    최종모델, 즉 수정모델2의 분석결과를 측정모델(측정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관계)과 구조모델(잠재변수 간 관계)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1) 측정모델(측정변수와 잠재변수 간 관계) 분석

    측정모델의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모든 잠재변수들이 해당 측정변수에 유의미하게 반영되어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인 가족관계의 결과는 부부관계와 자녀관계의 지표(문항)들로, 건강의 결과는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의 지표(문항)들로, 경제수준의 결과는 소득과 재산의 지표(문항)들로, 사회활동의 결과는 교우관계, 여가활동, 종교활동 지표(문항)들로 유의미하게 측정되어 나타났다. 한편 매개변수인 자기실현의 결과는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자아성취감의 지표(문항)들로, 마음의 평화 결과는 자기수용과 마음의 안정 지표(문항)들로 유의미하게 측정되어 나타났다. 또한 종속변수인 행복한 삶의 결과는 삶의 만족과 생의 즐거움 지표(문항)들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Measuring Model

    label

    Measuring Model

    2) 구조모형(잠재변수 간 관계) 분석

    최종모델의 잠재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자기실현은 가족관계, 경제수준, 사회활동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으며, 마음의 평화는 건강, 경제수준, 자기실현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고, 행복한 삶은 가족관계, 건강, 사회활동, 마음의 평화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 Latent Variable

    label

    Latent Variable

       6. 간접효과와 매개효과 분석

    본 연구에서의 연구모형에 기반하여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

    ]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label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파악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음의 평화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경제수준과 자기실현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가족관계, 건강, 사회활동은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변수들의 행복한 삶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마음의 평화(총효과=.783)가 제일 높고, 다음으로 자기실현(.680), 사회활동(.464), 가족관계(.411), 건강(.141), 경제수준(.009) 순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군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가족관계, 건강, 경제수준, 사회활동을 독립변수로, 자기실현과 마음의 평화를 매개변수로 하는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통해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행복한 삶에 대해 독립변수들이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조방정식모델이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을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다중회귀분석의 경우 직접적인 영향만을 파악할 수 있으나,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파악할 수 있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에서 가족관계, 건강, 경제수준, 사회활동, 자기실현의 간접적인 영향을 더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변수들이 자기실현 및 마음의 평화를 거쳐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실현과 마음의 평화가 매개변수로서 기능을 적절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함의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행복한 삶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마음의 평화로 나타났다. 이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객관적 요건도 중요하지만 주관적인 본인의 마음 다스림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마음의 평화가 높을수록 행복한 삶이 높아진다는 불경, 성경, 도덕경 등의 내용 및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마음의 평화를 얻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가족관계, 건강, 경제수준, 사회활동, 자기실현은 행복한 삶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력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가족관계의 향상, 건강의 향상, 경제수준의 향상, 사회활동의 향상이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조직인 가족관계 개선과 가족문제를 상담・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와 관리를 도와주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운영 및 질병치료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노인들의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운영과 노인들이 남은 여생동안 각자 꿈을 실현하면서 살 수 있도록 체계적인 욕구조사 실시・분석을 바탕으로 정부 및 민간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음의 평화와 자기실현이 행복한 삶에 중요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에 있어 새로운 이론적 모형을 제시했다는데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군산시의 노인복지 및 여가 프로그램(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노인학교, 읍‧면‧동 자치센터의 노인복지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들만을 조사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자료수집의 대표성에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국적으로 표집대상을 확대하여 노인의 행복한 삶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일반화된 자료의 분석과 연구변인간의 심층적 분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Ahn K. S. (2005)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5 P.1-19 google
    • 2. Chang H. K. (1998) The Development of Elderly`s Well-Being Scale google
    • 3. Cheong J. (2013) Bless google
    • 4. Derogatis L. R., Cleary P. A. (1977) Confirmation of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scl-90: A study in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P.981-989 google cross ref
    • 5. Gill G. S. (2003)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google
    • 6. Hwang Y. W. (2006)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Sbjective Well-being of Senior google
    • 7. Im C. H (2005) Study on Life Traits of The Old Ag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Style google
    • 8. Im M. S. (1985)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Urban Elderly Based on Activity Theory: An Emprical Study of Life Satia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Senior Center Program google
    • 9. Jeon H. O. (2003) A Study o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google
    • 10. Jeong W. Y., Jeong S. E. (2011)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by Income Levels among Single Elderly Household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 P.1119-1134 google
    • 11. Kang K. H. (2013)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Urban Areas google
    • 12. Kim D. H., Hwang K. Y.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of Rural and Urban Elderly people,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TAEGU UNIVERSITY] Vol.21 P.95-126 google
    • 13. Kim I. K., Kim W. S. (2008) A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Bond`s AAQ-16 Questionnaire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Vol.13 P.815-832 google
    • 14. Kim M. H., Shin K. R., Kang M, S., Kang I. (2004) A Study of Successful Aging Experience of Korean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4 P.79-95 google
    • 15. Kim M. S., Kim H. W., Cha K. H., Im J. Y., Han Y. S. (2003)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8 P.415-442 google
    • 16. Kim M. S., Park M. J. (2000) The Impact of Relig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0 P.29-47 google
    • 17. Kim Y. A. (2009) The Effect of Elderly People's Economic Liv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google
    • 18. Kim Y. B., Park J. S. (2004) The Family Network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South Korea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4 P.169-185 google
    • 19. Kim Y. B., Lee S. H. (2008) Social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derly in Seoul and Chuncheon Area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8 P.1-18 google
    • 20. Kwak I. S. (2013) Study o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of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51 P.1-17 google
    • 21. Kwak I. S. (2014)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with their Adult Children on the Happiness of the Middle-aged Parent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18 P.69-91 google
    • 22. Lee K. H. (2005)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the Korean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5 P.1-21 google
    • 23. Lee K. H. (2010) Self-Growth and the role of Parents from the Perspective of Four Noble Truths google
    • 24. Lee J. P. (1993) Happiness of Byeol Se google
    • 25. Lim C. H. (2005) Study on Elderly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o Whether an Elderly Has a Spouse or Not google
    • 26. Nam Y. H.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Religious Activitie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google
    • 27.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134-143 google cross ref
    • 28. Park E. S., Kim S. J., Kim S. I., Jeon Y. J., Lee P. S., Kim H. J., Han G. S. (1998)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18 P.37-61 google
    • 29. Park Y. J. (2002) Effect of Leisure Experience and Identity Salience o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serious leisure google
    • 30.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google
    • 31. Rowe J. W. (1998) Successful Aging google
    • 32. (2013) 2012 Social Suvey google
    • 33. Stones M. J., Kozma A. (1980) The Measurement of Happiness: Development of th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cale of Happiness (MUNSH) [Journal of Gerontology] Vol.35 P.906-912 google cross ref
    • 34. Soe E. J. (2009) Constructing the Successful Aging Model of the Older Adults google
    • 35. Tipton R. M., Worthington E. L. (1984) The Measurement of Generalized Self-Efficacy: A Study 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8 P.545-548 google cross ref
    • 36. Yu S. S. (2003) Study on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ure 1] ]  Reserch Model
      Reserch Model
    • [ <Table 1> ]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 [ <Table 2> ]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 [ <Table 3> ]  Model Fit Indices
      Model Fit Indices
    • [ <Table 4> ]  Modified Model Fit Indices
      Modified Model Fit Indices
    • [ <Table 5> ]  Measuring Model
      Measuring Model
    • [ <Table 6> ]  Latent Variable
      Latent Variable
    • [ <Table 7> ]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