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군 상담의 개념적?조직적 체계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f Conceptual and Organizational Framework to Build Military Counseling
  • 비영리 CC BY-NC
ABSTRACT
군 상담의 개념적?조직적 체계 구축 방안 연구

In order to establish a conceptual and organizational system of military counseling, efficient methods to advance military counseling were considered based on delphi surveys. The results of the 1st and the 2nd delphi surveys were put together to give the average, the most frequent value and the ratio an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of each relevant factor. The research includes clarifying the definition, function and role, targets and scopes, and types of problems in military counseling. In the conceptual level, the definition includes purpose, targets, methods, and anticipated result of the counseling. The function and role were subdivided into problem solving, prevention of accident, development counsel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research showed that expanding the targets of military counseling is advisable, from enlisted men only to officers, military families and friends of opposite sex. The problem areas were divided into personal, family related, barrack life related and others. In the organizational leve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ilitary counseling system, military counseling personnels and their performance, control system of military counseling and utilization of non military resourc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military workforce competencies, presented a study of the professional positions and social resource utilization.

KEYWORD
Military counseling , Conceptual system , Organizational system , military culture , Military organization
  • Ⅰ. 서론

    한국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여러 사회적 문제가 군대 안에서 똑같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반사회에서 개인적・자율적인 삶에 익숙한 신세대 장병들이 군대 내에서 겪는 극한의 신체적 활동, 위계적 조직문화 부적응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다. 최근 몇 년간 전방부대에서 총기 난사 사건, 병사 폭행사망사건, 폭행으로 인한 자살 등 극단적인 사건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피해자와 그들 가족 그리고 주변의 병사나 간부들에게도 너무나 큰 심리적인 고통이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고 보다 건강한 병영생활과 군 조직을 만들기 위해 정부와 군대 내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 한 가지 방법으로 군 상담의 체계를 구축하여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건전한 군대집단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미군의 상담체계와 대조해 한국군의 실태를 보면 군 상담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운영하는 체계는 매우 초기 단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군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상담관련 접근 원리나 방법을 단편적으로 접목시키는 정도이다. 군 상담의 개념적 정의, 서비스 대상, 서비스 내용 등이 아직 분명하지 않고, 군 상담 기관의 운영 형태나 운영 체계를 전쟁수행 등 군사적 경험이 많은 미군과 비교해보면 아직 제대로 갖췄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군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실적 문제들을 고려해보면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기본 체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

    군대 내 장병들의 다양한 상담소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전문상담 활동의 문제점 등 우리나라 군 상담의 운영현황과 미군 군 상담의 운영체계를 종합해보면 군 상담의 개념적・조직적 체계가 아직 구축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Ⅱ. 이론적 배경

    국방부에서는 2006년부터 사고예방 차원에서 장병들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는 장병들의 복무부적응 해소와 사고예방을 위하여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채용, 복무관리, 임금, 교육 등의 운영에 목적을 두고 훈령으로 정하여 시행되고 있다(국방부, 2010). 그 후 육군리더십센터에서는 상담처를 신설하여 대령급이하 전 간부들에게 상담과목을 교육하고 있으며, 군 상담의 주요 서비스 대상은 일반적으로 병사들이라 할 수 있다(육군본부, 2008). 대부분의 병사들을 보면 생애주기상 발달단계가 후기 청소년기에 속하며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과업(Erikson, 1982)으로는 매우 다중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시기이다. 특히 많은 병사들이 입대 전 병역의무에 대한 심리적 부담, 학업중단, 진로 및 취업 등의 고민을 하다가 국방의 의무를 위한 군 복무까지 많은 책임이 부과된다. 이에 따라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적응을 잘하는 병사들은 새로 주어진 군인 역할에도 잘 수행하지만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과업, 학업, 진로에 대한 고민, 이성관계나 가정의 문제까지 겪는 병사들의 경우에는 군 조직에 적응하기 매우 어려울 것이다(육군 교육사, 2012). 특히 훈련병 기간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자신의 생활 패턴을 군에 적응시켜야 하는 가장 어려운 시기이며, 이병과 일병의 기간은 자신의 직책과 직무를 처음 수행하며 내무생활에 적응해야 하는 힘든 시기라고 할 수 있다(장정기, 2013). 또한 지금까지 상담의 영역에서 배제되었던 간부들이나 군인가족의 경우 격오지 근무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1~2년마다 순환보직 근무 및 이에 따른 가족들의 잦은 이사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군 간부들의 직무스트레스는 물론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안민숙, 2013). 이렇듯 군대 내에서 상담을 필요로 하는 요인들은 다양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군대는 개인적 수준을 넘어 국가안보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일반사회 속에 존재하는 군 조직이기 때문에 보다 건강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국가와 사회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사회조직 체계의 특성과 군대 내 제대 간의 특성이 유사한 점을 고려하여 군 조직을 생태학적 체계이론(Bronfenbrenner, 1995)을 적용하여 살펴보면 첫째는 미시체계로 사람이 실제로 부딪치는 가까운 생활영역(역할관계와 활동을 포함하는)으로 소대급 이하 제대에서 활동하는 생활관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중간체계로 미시체계들이 상호 연결체계로 작용하는 중대에서 연대급 단위로 활동하는 주둔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셋째로 외부체계는 사단급에서 군사령부급 단위로 활동하며, 규정과 방침, 공문서 등 행정지시에 의해 통제되는 체계이다. 넷째는 거시체계로 국방부나 육군본부 등 정책부서를 포함한 사회체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간체계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달에 영향을 주는 개인이나 환경의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군대조직에서는 장병들의 복무기간이 생애주기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체계 간에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선순환적으로 영향을 미칠 경우 더욱 건강한 개인과 건강한 조직으로 성장한다. 그렇지 않고 하나의 체계가 악영향을 미칠 경우 악순환이 발생해서 더욱 문제를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Shaffer, 2008).

    이렇듯 생태학적 체계를 바탕으로 군대조직과 비교하였는데, 군 조직을 선순환구조로 촉진하기 위해 최근 몇 년간 상담이라는 전문적인 활동을 도입하여 전문적인 교육과 전문가 활용으로 군 상담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군 상담영역에서 군 내부적으로 운영되는 교육이나 정책은 병사 위주로 한정되어 있으며, 군 외부적으로는 몇몇 학회를 중심으로 병사들의 상담기법 및 사례관리 위주로 진행하며, 군인가족을 군 조직의 한 구성원으로 보지 못하는 한정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군 상담 영역의 발전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군 상담체계 구축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생태학적 체계를 기초로 일반사회에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상담체계를 군 상담체계로 연계하고 노력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군대조직 강화를 위한 상담의 활용은 군사적 선진국의 군 조직 내의 상담체계에서 모델을 찾을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이면서 한국 군대에 많은 시사점을 주는 군 상담 체계가 미군의 상담체계라고 할 수 있다. 미군은 많은 분쟁지역에서 전투를 경험하면서 장병들에게 발생하는 정신건강문제, 사회복귀, 직업능력 개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오랜 연구를 통하여 군 상담 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위험한 훈련과 임무, 빈번한 파병, 가족들과의 별거, 전쟁 참여 등으로 병사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군과 지역사회는 다각적인 심리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군의 군 상담 체계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1995).

    첫째, 전문 상담활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높게 평가하고 있다. 미군 상담 시스템에서 상담은 단순히 개인의 정신건강을 조력하는 것을 넘어서 전장에서 승리를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에 하나로 정신건강 서비스를 질적 지원업무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상담활동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기 때문에 분야별 정신건강 전문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군내 사회복지장교는 분야별로 심리학자, 상담자, 아동정신학자, 목사, 결혼 및 가족 치료사, 마약 및 알콜중독치료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상담서비스의 대상으로 군인인 장병들뿐만 아니라 군인가족을 전투력의 주력으로 보고 동일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미군의 상담서비스는 군내에만 한정하지 않고 사회적 전문기관과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군대 내부, 지역사회와 각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통합적인 노력으로 장병은 물론 군인가족들에게 지원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서론과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군대에서 더 실효성있고 조직을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현재의 군 상담의 문제들을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로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 군 상담의 개념적 체계는 어떤 내용으로 구성이 되는가(정의, 기능과 역할, 대상과 범위, 문제 영역과 형태)? 둘째, 군 상담의 조직적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상담인력, 인력의 역할, 전문직위 신설 및 역할, 민간전문가 활용)? 셋째, 이를 바탕으로 군 상담의 발전방안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육・해・공군의 군대 편제 중 육군이 약 80%인 점과 현재 군 상담이 주로 육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범위를 육군 내에 군 상담으로 한정시킨다.

    Ⅲ.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활용하여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 연구를 진행하였다. 델파이 연구 방법은 집단참여자들 간에 물리적 대면 관계를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집단으로서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수차례의 반복되는 조사를 통해 집단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들의 견해를 공유한 상태에서 자신의 의견을 수정해 나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이종성, 2001). 이러한 방법은 선행연구자들의 다양하고 분산된 의견을 종합하는 동시에 새롭게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재정립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는 군 상담의 개념적・조직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통해 델파이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전문패널들 중 민간전문가는 박사학위 소지자 8명, 석사학위 소지자 1명으로서 심리학 및 상담전공 대학교수, 상담 센터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군내전문가는 박사학위 소지자 2명, 석사학위 소지자 3명로서 군내 상담관련 교수 및 정책부서 관리자로 활동하고 있다. 병영상담관은 박사학위 소지자 1명, 석사학위 소지자 3명으로서 군 상담 현장에서 직접 상담을 담당하는 현장 전문가이다. 1차 참여자는 총 18명, 2차 참여자는 총 16명이다(<표 1>). 일반적으로 델파이 조사 방법에서 참여자를 30명 이상 선정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한국군 군 상담 전문가1)로 선정할 만한 집단이 매우 작아서 민・군 합쳐서 전문가를 최대한 선정한 결과가 18명이다. 30명을 확보하기 위해 업무관련성이 낮은 직종을 참여시키는 것보다 연구 결과를 정확히 도출하는데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표 1>] 연구 참여자 현황

    label

    연구 참여자 현황

       2. 연구 도구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군 상담의 개념적 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였다. 문항 구성의 논리적 근거는 ① 군 상담관련 다양한 문헌에서 주요 내용인 정의, 대상, 범위, 운영 실태 등을 추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군 상담에 맞게 구성하였다. 특히 상담의 기본영역과 주요 문제에 대해 김계현(1995)에서 제시한 『적용영역별 접근 상담심리학』을 본 연구의 개념적 틀로 활용하였다. 주요내용 및 영역으로 불안, 우울관련 정신건강문제, 성격장애문제, 학습장애, 청소년비행 등 교육・학습문제, 직업선택 등 진로문제, 인간관계 등 직장적응문제, 부부갈등, 가족폭력 등 가족문제, 기타 신앙문제, 개인별 욕구문제 등이다. ② 미군 상담체계를 중심으로 장병・군인배우자・군인자녀들을 위한 상담서비스, 임무수행관련 상담서비스, 미군의 군 사회복지제도 등을 기초로 하였고, 이외에도 관련 법률, 학위논문(강진영, 2010, 응웬 티 탐, 2010), 연구기관의 논문(박기영, 2000; 김기연, 2003; 양미진, 2008), 일반저서(이흥윤, 2005; 국방부, 2011; 김태현 외, 2013) 등을 다각적으로 탐색하여 작성하였다. 이후 1차 연구도구에 대해 상담전공 교수 2인의 평정을 받았다. 1차 결과에 대해 전문가 조사와 그 내용에 대한 보완으로 다시 2차 연구도구를 완성한 후 동일 상담전공 교수 2인의 평정을 받았다.

       3. 연구과정과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별, 관련 요소별로 타당성과 포괄성을 구분하여 결과치를 5단계 리커트 척도값에서 평균값, 최빈값, 최빈값의 응답비율을 중심으로 조사결과를 산출하였다. 또한 1차 조사와 2차 조사로 나누어 산출한 후, 내적 타당도비율(CVR)을 산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18명 참여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산출하였고, 2차 조사 전에 1차 조사를 종합하여 수정된 내용으로 1차에 참여한 인원 중 16명의 전문패널들의 의견을 다시 조사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연구과정 초기단계에서 기본적으로 3차 조사까지 계획하였으나 2차 조사 후 그 결과가 비교적 분명하고 안정적이며 타당도 또한 높게 나타나서 2차 조사까지 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1)군 상담전문가의 개념은 명확하지 않지만 연구자는 상담심리학 관련 학문적 배경과 군대편성 및 조직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 가운데 상담에 대한 경력을 갖춘 자로 정의한다.

    Ⅳ.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군 상담의 개념적 체계를 위해 군 상담의 정의, 군 상담에서 문제의 영역과 형태에 대한 결과를, 조직적 체계 구축을 위해 군 상담 인력의 역량과 기능 및 역할, 군 상담의 내담자 범주와 군 상담업무를 관장하는 부서 및 사회적 자원 활용에 대한 내용을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였으며, 이 결과는 1차와 2차를 종합한 결과로써 관련요소별 전문패널들이 응답결과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항목별로 모든 응답치의 평균값과 최빈값의 비율, CVR2)을 제시하였다. Lawshe(1975)가 제안한 내용타당도 비율인 CVR(content validity ratio)은 0.50으로 나타났다. CVR을 델파이 참여전문가의 수에 따라 최소값이 결정되는데, 해당 문항이 CVR지수가 최소값 이상인 경우에는 유의도 0.5수준에서 내용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한다. 1차 조사에서는 전문패널 20명 중 18명이 응답하였는데 군 상담의 정의, 대상자의 범위, 문제영역과 형태, 군 상담인력과 역량, 기능과 역할의 요소와 패널의 자유의견을 요구하였으면, 2차 조사에서는 전문패널 18명 중 16명이 응답하여 전문직위 신설 및 직위자의 역할, 민간상담기관 및 연계성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각 항목별 응답결과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빈도와 척도값, 최빈값의 비율, 패널 대상별 응답빈도, 항목별 응답자의 평균값 등을 제시하였다. 설문과정에서 내용을 수정한 부분은 (★)로, 항목을 수정한 내용은 (추가 또는 삭제)로 명시하였고, 최빈치가 동일한 부분은 (*)표시로 구분하였으며, 그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념적 체계구축

    군 상담의 개념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여 핵심 요소를 구성하였다. 상담의 개념적 내용을 중심으로 정의, 기능과 역할, 대상과 범위, 문제영역과 형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 군 상담 정의

    본 연구에서 군 상담의 정의를 목적, 대상, 수단, 방법, 최종상태 등으로 구성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정의를 하나의 내용으로 제시하여 평정의 어려움이 발생했다. 조사내용에 대한 검토를 받은 후 2차 조사에서는 정의의 하위 구성요소별(<표 2>의 주요내용 참조)로 제시하여 각 항목에 대한 평정을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군 상담에 대해 정의를 내렸다. 군 상담은 장병 및 군인가족 그리고 장병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자에게 군 리더와 상담전문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주 호소문제와 고충을 해결하고, 이 과정에서 개인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군대 조직이 재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전투력으로 승화되도록 촉진하는 통합적인 노력의 과정이다. 구체적인 조사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군 상담의 정의

    label

    군 상담의 정의

    나. 기능과 역할

    군 상담의 정의에 따라 군 상담의 구체적인 기능과 역할을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내용으로는 문제해결상담, 사고예방상담, 발달상담, 인적자원개발 상담으로 범위를 설정하고 관련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1차 조사 의견에 따라 15항인 사생관 등 영성상담을 추가하여 타당도를 산출하였다. 기타 항목에 대해서는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여, 적절한 표현 등을 수정하여 다시 평정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1차, 2차의 조사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

    label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

    다. 대상과 범위

    군 상담에 있어서 대상자를 병사, 간부, 가족, 이성친구로 설정하고 주 호소문제들을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14항과 17항은 1차 조사 후 내용이 분명하지 않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다시 평정을 받았다. 1, 2차 조사 결과를 종합한 구체적인 대상과 범위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군 상담 대상자의 범위

    label

    군 상담 대상자의 범위

    라. 문제영역과 형태

    군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문제의 영역을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부대적 요인, 기타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 중 개인적 요인에서 3항과 8항 경우 1차 조사에서 3항은 내용을 보다 구체화할 것을 요구하였고, 8항은 추가의견으로 수렴하여 수정된 내용을 다시 평정을 받아 그 타당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기타요인에서 20항은 종교적 문제로 표현상 의미의 오해를 지적받아 수정하여 2차 평정을 받았다. 문제형태를 세분화하여 평정결과와 <표 5>에서 제시하였다.

    [<표 5>] 군 상담 문제영역과 형태

    label

    군 상담 문제영역과 형태

       2. 조직적 체계구축

    군 상담의 조직적 체계에 대해 군 상담 인력과 인력의 역량, 군 상담 전문 직위 신설 및 역할, 민간전문가 활용을 중심으로 군내 인력 및 조직의 강화, 군외전문자원 활용 차원에서 조직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가. 군 상담 인력

    군 상담을 위한 인력으로 동료집단, 리더집단, 군내전문집단, 군외전문집단으로 범위를 설정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이 중 동료집단에서 4항(군인 가족)은 타당성이 전혀 없다고 제시하여 삭제하였고, 군외전문집단 15항(10년 이상 임상경험자)의 내용은 2차 조사 시 삭제여부에 대한 의견에서 낮은 타당도를 보여 삭제하기로 결정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6>과 같다.

    [<표 6>] 군 상담의 인력

    label

    군 상담의 인력

    나. 군 상담인력의 역량

    군 상담인력은 각 소속된 집단에서 담당하고 있는 직책이나 역할에 따라 제대별・개인별로 갖춰야 할 상담역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중 동료집단에서 2항과 3항(간부 남녀)집단은 동료집단으로 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간부들의 경우 인사권에 있어서 상호 경쟁자임을 고려하여 집단의 범위가 낮은 타당도로 판단되며, 군내전문집단에서는 12항(문제해결참모)이, 군외 전문집단에서는 13항(상담관련 교수)이 타당도가 낮은 것은 군 상담의 문제유형의 복잡・다양화 현상을 고려하면 12항 관계참모들의 역량에 대한 인식제고가 요구되며, 13항 상담관련 교수는 군 조직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군 상담인력의 역량

    label

    군 상담인력의 역량

    다. 전문직위 신설 및 역할

    군 상담의 개념적・조직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상담 전문직위 신설이 1차 조사결과에서 중요하게 나타났다. 1차 조사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패널들의 전문직위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에 따라 그 항목을 세분화하여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담 전문직위 신설이 핵심적인 과제라고 판단하며, 이를 위한 어떤 직위를 어떻게 신설하는 것이 타당한지 그리고 전문직위자의 역할에 대해 <표 8>, <표 9>와 같이 조사하였다.

    [<표 8>] 전문 직위자의 역할

    label

    전문 직위자의 역할

    [<표 9>] 군 상담 전문직위의 타당성

    label

    군 상담 전문직위의 타당성

    먼저 전문직위자의 역할 면에서 주요임무로는 직접상담실시, 민간 전문기관 협조 및 의뢰, 참모기능별 협조, 전문상담자 행정지원 순으로 타당도가 높게 나왔으며, 군인가족지원 분야도 중요한 역할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직위자의 타당성에 대한 내용으로 성별은 남녀모두, 신분은 군무원, 현역일 경우 계급은 중사 이상, 보직기간은 3년 이상, 근무제대는 연대급,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인사참모부, 직책명칭은 군상담사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 민간전문기관 활용

    1차 조사 시 민간전문기관 활용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어 2차 조사에서 군 상담을 위한 민간전문기관의 활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군 상담이 앞으로 더 활성화되고 군 상담에서 문제유형의 다양화와 군내 상담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민간전문기관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각 기관별 항목에서 최빈값이 평균적으로 50% 내외로 선택하여 다양한 채널과 방법으로 연계성있는 상담이 필요하여 상담유형에 따라 타당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차 조사 내용은 <표 10>과 같다.

    [<표 10>] 군 상담을 위한 민간전문기관활용에 대한 조사

    label

    군 상담을 위한 민간전문기관활용에 대한 조사

    2)CVR(content validity ratio)는 측정도구에 포함된 설문 문항들이나 관찰내용이 얼마나 측정하려고 하는 속성이나 개념을 대표성있게 포함하고 있는가에 대해 주관적 또는 상호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Ⅴ. 개념적?조직적 체계구축을 통한 군 상담 통합운영 방안

    앞에서 제시한 군 상담의 개념적, 조직적 체계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군상담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조직간의 군 상담 통합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 군대 내 지휘관 및 참모 기능별 통합방안

    ‘군 상담의 목적은 1차적으로 사고를 예방하고(문제해결 및 재발방지), 2차적으로 잠재력을 개발하여(잠재역량 개발), 최종적으로 보다 나은 전투력으로 승화하기 위함(무형전투력 창출)이다. 이를 위해 리더들은 상담기술을 통해 리더십의 중요한 기술을 터득해야 할 것이다’(육군본부, 2012). 군 상담의 목적과 방법을 이와 같이 총론 수준에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목적을 구현해야 하는 각 제대별 지휘관과 참모들의 상담 관련 역할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으며, 또한 기능별로 통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래서 군 상담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지휘관 및 참모들이 수행해야 할 상담분야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기초로 제대별, 참모기능별로 통합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보았다.

    가. 지휘관 및 참모 분야별 상담적 역할

    지휘관의 역할은 부대의 리더로서 전투지휘, 교육훈련 및 부대관리, 결심, 지시 및 명령 등 일인다역(一人多役)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휘관은 전투준비태세 유지, 교육훈련, 부대관리의 조화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팀워크와 전우애로 부대가 단결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전투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책무가 있는 것이다.3)

    이 중 지휘관의 상담 관련 책무를 직책별로 살펴보면 사・여단장은 병영상담관 운영 및 관리, 여군 고충상담관 운영 및 관리, 기본권상담관 운영과 관리, 인권교육과 실태조사, 부대진단 등을 통해 보다 세부적인 지침을 하달하고 지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대장과 대대장은 기본권상담관 운영, 여군고충상담관 지침이행, 부대진단을 통한 문제 유형별 상담실시, 제한사항에 대한 상급제대 보고 등을 시행하고, 필요시 직접 상담을 실시한다. 중대장 이하 간부는 상급부대 지시에 따라 내담자식별, 면담, 지휘조치 및 보고, 상담 등 이행을 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참모 기능별 역할을 살펴보면 대대급 이상 제대에 편성된 참모조직은 일반참모와 특별참모로 구분되는데 이 중 사단급 참모를 중심으로 상담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참모기능은 일반참모인 인사참모와 특별참모인 감찰참모, 군종참모, 법무참모, 헌병대대장, 의무대대장, 부사관단(주임원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대관리를 위한 참모기능의 주무부서는 인사참모부와 특별참모부인 감찰참모부, 군종참모부, 법무참모부, 의무대대, 헌병대대, 부사관단의 부서장들과 주도와 지원의 관계로 상담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사참모는 사고예방계획을 수립하여 병영상담관을 직접 운영하고 관리하며, 군종참모는 장병 및 군인가족들의 상담, 위문 및 방문활동과 비전캠프를 직접 운영한다. 감찰참모는 개인의 권익보호 차원에서의 상담, 법무참모는 인권관련 교육 및 상담, 헌병대대장은 교정관련 상담, 의무대대장은 군의관을 지휘통제하여 장병의 정신건강, 전투스트레스관리 등 건강관련 상담활동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부사관단은 주임원사가 기본권상담실을 운영하며 복무조기적응, 진로, 경제, 이성교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상담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지휘관 및 참모들은 상담분야의 책무가 있으며, 이들의 상담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간부보수 교육기관인 육군리더십센터(상담처)에서 상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트라넷을 이용해 리더(지휘)상담에 대한 문의와 사례에 대하여 조언 등 피드백을 받고 있다.

    나. 상담업무에 대한 제대별 참모계선 통합방안

    군대에서 상담관련 참모기능은 교육분야, 인사분야, 군종분야, 의무분야, 헌병 및 법무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제대별 지휘관들은 참모기능별로 제반 업무가 유기적으로 통합 운영되도록 지휘감독해야 하며, 상담과 관련된 업무는 참모기능별로는 상호 협의체를 구성하고 의사결정과정을 통하여 통합적인 노력이 제도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며 이에 대한 방안은 <표 11>과 같다.

    [<표 11>] 군내 참모 기능별 통합체계 방안

    label

    군내 참모 기능별 통합체계 방안

    <표 11>에서 제시된 방안은 효율적인 군내 참모기능별 통합운영을 위해 우선적으로 국방부 및 육본 등 정책부서에서 통합된 지침마련을 위한 협의체 구성이 중점이 되어야 하며, 군사령부에서 사단급까지의 장성급 제대에서는 지역별 전문기관과의 협약을 통한 연대급 이하 제대의 지원여건에 중점을 두는 것이고, 연대급 이하 제대에서는 군내・외 전문가와 연계한 맞춤식 상담활동을 통하여 지휘역량을 사고예방중심에서 교육훈련 및 전투준비로 전환함으로서 창끝 전투력을 발휘를 통한 무형전투력 극대화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다. 제대별 수평적 협력체계 구축

    정책부서인 국방부와 육군본부에서는 군 상담이 무형전투력 창출의 새로운 방법으로 인식하고 장병의 심리를 다루는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 인사, 군종, 의무, 헌병 및 법무, 필요시 감찰 및 부사관 등 참모 기능이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제 기능이 통합적으로 정책입안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야전부대인 군사령부에서 사단급 제대까지의 지휘관이 대부분 지역관할 부대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평소에 지역사회 기관(장)들과 공식 및 비공식적인 의사채널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민간조직을 제도적으로 활용하여 장병들의 신체적・정신적・영적인 건강을 유지하고, 무형전투력으로 승화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연대급 이하 부대에서는 지휘관들이 리더(지휘)상담으로 조치할 것인지, 아니면 상급제대에 보고해서 조치 받을 것인지, 민간전문가와 연계해서 조치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 및 조치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담관련 전문직위의 담당자가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군인가족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군인복지차원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2. 군대 내 조직과 민간조직과의 통합방안

    앞에 연구결과에서 언급한 군 상담의 정의와 대상 범위, 문제영역과 형태, 인력 역량, 기능과 역할 등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군에서 요구되는 상담의 역할과 중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현재의 군 내부적으로 구축된 인적자원과 제도적 장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보다 전문화되고 잘 갖추어진 민간조직과 연계성 있는 노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본 장에서는 민간조직 중 정부부처 상담관련 기관과의 통합과 민간조직 상담관련 기관과의 통합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 정부부처와 군 제대별 협력체계 방안

    현 정부에서 군 상담과 관련있는 부처는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기타부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 개인이 성장과정에서 가정-학교-군대-사회로 환원되는 연속적인 생애주기에서 단절됨이 없이 국가적 차원의 복지와 보건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정부부처 간 연계된 노력의 결과는 곧 군대가 추구하는 무형전투력과 직결되며, 국가안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조속히 제도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며 정부부처와 군 제대별 통합방안은 <표 12>와 같다.

    [<표 12>] 정부부처와 군 제대별 협력체계 방안

    label

    정부부처와 군 제대별 협력체계 방안

    이 방안에서의 핵심은 국방부가 주체가 되어 내부적으로 통합기능을 할 수 있는 주무부서를 설정하고, 정부관련 부처와 협의를 통한 제도를 보완하고 장성급제대와 영관급 이하 부대에서 보다 전문화된 지역 내 상담관련 전문기관들과 유기적으로 상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 상담관련 민간기관과 협력체계 방안

    민간 조직 내 군 상담과 관련 있는 기관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중인 자살예방센터나 각종 중독문제를 다루는 관련센터와 상담관련 학회, 종교 집단에서의 상담 등 다양한 민간조직들이 전문성을 갖추고 운영되고 있다. 이 기관들은 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지역사회 속에서 군과 밀접하게 교류하고 있으며, 이를 장병들과 군인가족들을 위해 군 제대별로 연계할 수 있다면 군이 추구하는 사고예방은 물론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서 민간전문기관과 군 제대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표 13>과 같다.

    [<표 13>] 상담관련 민간기관과 협력체계 방안

    label

    상담관련 민간기관과 협력체계 방안

    이 방안에서의 핵심은 정책부서인 국방부나 육군본부에서 민간전문기관들과의 협약을 통한 통합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장성급 제대에서 보다 구체적인 시행 계획 수립을 통하여 장병들이 군대와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상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사회에서 다루어지는 상담의 영역은 사회 안에 존재하는 군대집단에서도 거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군인뿐만 아니라 군대의 구성원인 군인가족과도 연계성있게 적용하면 군 상담에서도 발전시켜야 할 영역이라 판단된다. 그래서 앞의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것과 같이 일반사회에서의 상담영역 중 대부분은 군대 조직과 연계함으로 보다 효율적인 군 상담의 모델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고예방과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을 통한 중독상담, 성(性)상담, 종교상담 등이 적용되고, 발달상담과 인적자원개발 차원 상담에서는 진로상담, 학교상담, 교정상담, 피해상담,4) 다문화상담 등으로 분류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그림 1>과 같이 14개 영역중에, 노인상담을 제외하고 13개 상담영역은 군대 구성원인 군 장병과 군인 가족들과 연계성을 갖고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군대와 민간기관의 조직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군 조직을 제대별 지휘관계, 지휘권한과 역량, 단위 부대별 임무와 역할, 참모 구성 및 역량 등을 고려하여 연대급 이하 제대(영관장교가 지휘하는 제대)와 군사령부에서 사・여단급 제대(장성급장교가 지휘하는 제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를 지휘체계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은 1차적으로 연대급 이하 제대통합모델(제일 안쪽모형), 2차적으로 사・여단급 제대 통합모델(중간모형), 3차적으로 지역사회 전문기관 및 전문가와 연계하는 통합모델(제일 바깥모형)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연대급에 상담전문직위자(차후 편성 필요)를 통해 1차 통합체계로 진행할 것인지, 2차 통합체계로 보고할 것인지, 아니면 3차 통합체계로 지원 의뢰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지휘보고 및 조치를 하는 것이 핵심과제가 될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군 상담에서 한계로 생각하는 비밀보장의 문제와 내담자 노출의 문제로 파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도 맞춤식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호소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고, 전투원으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이러한 1차-2차-3차 통합모형을 기본개념으로 군 상담의 교육은 물론 상담현장에서 적용을 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상담체계가 구축될 것이라 판단하며, 이를 요약 정리하면 <그림 2>와 같다.

       3. 법령개정 등 제도적 장치 마련

    군 상담을 위한 중요한 법적기준이 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군인복지기본법이다. 군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군인의 생활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군의 사기를 높이며, 나아가 군인으로 하여금 임무수행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군인에 대한 복지정책의 수립 및 복지사업의 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목적(제1조)을 당성하기 위해 군인복지기본법(법률 제11489호, 2012. 9. 22 시행)이 제정되었다. 이 군인복지기본법 제3조에는 국가는 국토방위의 의무를 수행하는 군인이 복무 중에는 그 임무수행에만 전념하고, 전역 후에는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는 국가적 책무를 명시하고 있다. 특히 2013년 새롭게 개정된 『’13~’17 군인복지기본계획』에서는 기존 4대 영역(기초복지, 문화복지, 가족복지, 복지인프라)에서 7대 영역(병사복지, 전직지원, 주거복지, 가족복지, 의료보장, 복지인프라, 보수 및 처우)으로 확대되었는데 앞으로 복지정책을 구현하는 방법 또는 수단으로 군 상담의 기능은 보다 확대될 것이라 판단한다. 이를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앞에 Ⅳ장 2항의 ‘군대 내 조직과 민간조직과 통합방안’에서 제시한 내용이 상담영역별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법령과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정부부처 간 하위법령에 반영하고, 제2차 군인복지기본계획(2013-2017년)의 내용을 보건복지부와는 정신건강보건법과 지역보건법에 관한 사항, 여성가족부와는 건강가정기본법, 청소년 기본법과 연계하여 군인과 군인가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고용노동부와 장병들을 국가인적자원으로 인식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고용정보원 등의 조직과 관련된 법률을 개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부와는 초・중등 교육법, 고등교육법 등에 군인 및 군인자녀들이 학교상담교사와 연계하여 제반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명시하는 등 법률의 개정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군인복지기본법을 기초로 타 법률과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국무총리실 산하에 국무조정실이나 국무회의를 통해 정부차원에서 다루어진다면 보다 효율적인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것이라 생각된다.

    3)국방부, 부대관리 훈령, 2010.  4)피해심리학과 회복적 정의를 기초로 범죄, 재난, 사고 등으로 피해를 입은 대상자들에게 상담, 경제적지원, 보호하는 활동으로 (사)한국피해자지원협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Ⅵ. 결론

    본 연구는 델파이 연구방법을 통해서 군 상담의 개념적 체계와 조직적 체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군 상담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개념적 체계 구축을 위해 군 상담의 정의를 재정립하였고,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을 관련 요소별로 타당성 있게 구체화하였다. 군 상담의 대상자를 기존 병사 위주에서 간부, 군인가족, 이성친구 등 장병들이 임무수행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자를 포함하였으며, 군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문제의 영역을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부대관련 요인, 기타 요인으로 구분하여 세분화하였다. 군 상담의 문제 영역과 형태를 범위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은 조직적 체계에 대해 군 상담을 수행하는 인력을 제대별 역할을 고려해 계층별로 구분하였고, 그들이 상담을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조사하였으며, 효율적인 군 상담을 위해 필수요소라 할 수 있는 군내 상담전문직위 신설과 역할에 대하여 명시하고 그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군대의 특성차원에서 제안한 상담제도(안민숙, 2013), 상담방법(조차현・진재열, 2009), 병영생활상담관의 평가(기노경, 2009) 외에도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운영관련 훈령(2010), 군인복지기본법(2012), 미 육군성 군 상담 및 인적개발(2003) 등을 기반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 문제영역과 형태, 군 상담인력과 그 역량 등 군 상담의 개념과 적용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현재 군대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에 대해 보다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개입하기 위해 상담체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군 상담이 그 기능과 역할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군 상담의 개념적, 조직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상담의 정의를 재정립하였다는 것이다. 기존 다양하게 주장되어 온 군 상담의 정의에 비해 비교적 포괄적으로 정의를 시도하였다. 그동안 군 상담의 정의는 매우 다양한 관점으로 제시되었으며, 그 내용 또한 상담학의 개념적 정의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야전교범으로 활용되는 『병영상담』에서는 “전투력 발휘를 위해 상담자가 상담대상자와 상호이해 및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상담대상자의 문제해결과 잠재능력 개발을 도와주는 과정”으로 정의(육군본부, 2012)하고 있는데 이는 내담자를 상담대상자로 표현하면서 대상자별 호소문제 등 구체적으로 구분되지 못하였고 상담 내용의 영역 또한 모호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담의 목적, 대상, 수단과 방법, 최종상태 그리고 군 상담의 본질적 속성을 고려하여 군 상담의 정의에 대해 다시 종합하여 재정의함으로써 보다 학문적 측면에서 개념을 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그 내용은 앞의 Ⅲ장 1항 가 세항의 내용과 같다.

    둘째, 군 상담의 대상과 문제영역 및 형태, 상담인력과 역량 등에 대한 구체화로 군 상담의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군 상담이 출발한 지 약 6년 남짓 되는데, 지금까지 대부분의 군 상담에 대한 연구는 일반상담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을 반영한 상담프로그램과 상담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안민숙, 2013). 군 상담 대상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병사와 초급간부로 한정하여 이들의 일반적인 특징, 갈등요인, 개개인의 특성을 주로 소개하고 있다(육군본부, 2012). 이러한 견해들을 보면 군대 조직과 그 특성에 대한 이해, 병영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기존의 군 상담 접근이 야전부대 리더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기는 어려웠다. 군 상담은 일반상담과 달리 지휘조치와 책임이라는 후속과정이 요구되고, 장병들의 호소문제가 복잡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군 상담의 대상, 영역과 형태, 상담인력과 상담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으로 군 상담이 정착하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군 상담의 조직적 체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판단되는 상담 전문 직위 신설에 대한 견해와 이들의 역할이다. 현재는 군인이든, 민간전문가이든 ‘군 상담 전문가’라는 기준이 모호하였다. 상담 전문직위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성별은 남녀모두 가능하고, 신분은 군무원으로 하여 전문적이고 장기간 활용 가능직위로 하며 현역일 경우 중사 이상 계급을 선택하였다. 적절한 근무제대는 연대급에서 운영하고, 인사참모기능에서 주무부서 역할을 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한 바가 없으며 전문직위자들이 역할을 구체화하였다. 아직까지 군 상담의 전문가 역할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상담 주체와 관련된 논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할 수 있었다.

    넷째, 군 상담의 조직적 체계에서 군대 내 상담조직과 상담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기관 및 전문가와 연계를 통한 협력체계구축이 절실하다는 부분을 인식하고자 한다. 군 상담이 아직 출발단계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군내 상담조직이 아직 완비되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 기관과의 연계는 비교적 후순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군 상담을 보다 활성화하여 다양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민간전문기관과의 연계를 중요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 민간 기관 전문가와의 연계에 대한 의견으로 기관별 상담유형을 개인 및 집단상담, 자살예방상담, 가족상담, 진로 및 직업상담, 종교상담, 중독상담, 기타 상담으로 구분하여 정부산하기관 또는 지역별 전문기관들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안과 법률 및 제도적 보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계성을 통해 외부 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보다 실효성 있는 군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군 고유 책임인 전투력 향상에 지휘노력을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군 상담의 개념적・조직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많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지만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우선,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민간전문가, 군내전문가, 병영상담관 등 세 가지 분류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상담의 세부적인 문제와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군내에서 상담과 관련이 깊은 군종, 의무, 헌병 등 병과별 영역과 지휘관 및 인사참모장교 집단, 장교 및 부사관 등 보다 다양한 직책과 신분으로 구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담의 보편적 특성과 군 상담의 특수성을 어떻게 잘 조화를 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논의가 미비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군 상담 전문 슈퍼바이저 집단을 구성하여 군대 조직과 병영문화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상담자 교육훈련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앞으로 군 상담이 보다 활성화되고 정착한 후에 지속적으로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강 진영 (2010) “또래상담병제도 도입을 통항 군내 상담활성화 방안 연구.” google
  • 2. (2010)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운영관련 훈령(제1230호 개정).” google
  • 3. (2011) 『국군 인권교육 교재』. google
  • 4. (2012) “군인복지기본법(법률 제11389호, 2012. 9. 22 시행).” google
  • 5. 기 노경 (2009) “간부 상담능력 육성교육 시행성과 평가 및 향후 사업추진방향연구.” google
  • 6. 김 기연 (2003)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1 P.87-99 google
  • 7. 김 계현 (1995) 『적용영역별 접근 상담심리학』. google
  • 8. 김 영태, 이 현엽 (2009)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제도의 효과성 분석 및 발전방안 탐색.” [『국방정책연구』] Vol.25 google
  • 9. 김 태현, 이 정원, 임 익순 (2013) 『장병을 위한 군 상담 프로그램』. google
  • 10. (2004) 『부대지휘〔Truppenfuhrung〕』. google
  • 11. (2003) 『군 상담 및 인적개발〔counseling and human development〕』. google
  • 12. (2009) 자기 계발 지침서〔Self-Development Handbook〕. google
  • 13. (2009) 『Leadership Counseling』. google
  • 14. (2012)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제10516호, 2012. 3. 31 시행). google
  • 15. 안 민숙 (2013) “군 간부 상담제도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google
  • 16. 양 미진 (2008) “군 솔리언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 개발.” google
  • 17. 이 종성 (2001) 『델파이 방법』. google
  • 18. 이 흥윤 (2005) 『군 사회복지의 실천』. google
  • 19. (2011) 『군 리더십』. google
  • 20. (2012) 『병영상담』. google
  • 21. 응웬 티 탐 (2010) “한국 사회의 세대 구분과 세대별 가치관 차이.” google
  • 22. 장 정기 (2013)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경험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3. 조 차현, 진 재열 (2009) 군 상담심리사 자격인증제도, 육군교육사령부 용역과제 연구. google
  • 24. 조 흥식 (2013) 『군사회복지론』. google
  • 25. (1995) Code of ethics and standards of practice Alexandria. google
  • 26. Coombs R. H. (1991) Marital Status and personal well being: A literature review [Family Relations] Vol.40 P.97-102 google cross ref
  • 27. Corcy G. (2000)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google
  • 28. Shaffer David R. (2008) 『발달심리학』. (송길연 외 역). google
  • 29. Davidson T. (1978) Conjugal crime. google
  • 30. Decoteau G. T., Keller M. M. (2000) The military child: Mobility and education. google
  • 31. Ellis A. E. (1995)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 J. Corsini & D. Wedding (Eds), Current psychotherapies google
  • 32. Fenell D. L. (2003b) Presentation to 20th Special Forces Group (Air borne) Personnel google
  • 33. Harvey S. C. (2002) Debriefing/decompression: Psychological for OEF casualties. [US Army Medical Department Journal] P.14-20 google
  • 34. (2001) United States Army secondary education transition study. google
  • 35. (1998) A guide to managing stress./Brochure/San Bruno. P.A17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 참여자 현황
    연구 참여자 현황
  • [ <표 2> ]  군 상담의 정의
    군 상담의 정의
  • [ <표 3> ]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
    군 상담의 기능과 역할
  • [ <표 4> ]  군 상담 대상자의 범위
    군 상담 대상자의 범위
  • [ <표 5> ]  군 상담 문제영역과 형태
    군 상담 문제영역과 형태
  • [ <표 6> ]  군 상담의 인력
    군 상담의 인력
  • [ <표 7> ]  군 상담인력의 역량
    군 상담인력의 역량
  • [ <표 8> ]  전문 직위자의 역할
    전문 직위자의 역할
  • [ <표 9> ]  군 상담 전문직위의 타당성
    군 상담 전문직위의 타당성
  • [ <표 10> ]  군 상담을 위한 민간전문기관활용에 대한 조사
    군 상담을 위한 민간전문기관활용에 대한 조사
  • [ <표 11> ]  군내 참모 기능별 통합체계 방안
    군내 참모 기능별 통합체계 방안
  • [ <표 12> ]  정부부처와 군 제대별 협력체계 방안
    정부부처와 군 제대별 협력체계 방안
  • [ <표 13> ]  상담관련 민간기관과 협력체계 방안
    상담관련 민간기관과 협력체계 방안
  • [ <그림 1> ]  군대에서 적용 가능한 상담의 영역과 운영방식
    군대에서 적용 가능한 상담의 영역과 운영방식
  • [ <그림 2> ]  군 상담을 위한 통합적 운영모형
    군 상담을 위한 통합적 운영모형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