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천연기념물 제323-8호 황조롱이의 최근 10년(’08~’17) 분포 특성 연구 A Ten-Year(’08~’17)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Common Kestrel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천연기념물 제323-8호 황조롱이의 최근 10년(’08~’17) 분포 특성 연구
Abstract

In this study observation records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2008-2012, 2014-2017) and the Korean Natural History Research Information System (KNHRIS) for the common kestrel (2013-2016) were consul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kestrels in an area and the area’s land use typ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ased on data collected over the last 10 years (2008-2017). Findings show that the common kestrel is widely distributed between 4,407 sites registered in KNHRIS in the period of 2008-2012, 3,899 sites in 2014-2017, and 508 sites in 2013-2016. Relationship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ltitude and urban planning factors of statistics based on a 2017 GIS check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birds’ altitude was confirmed to range from 0 to 1,200 metersck but was most commonly observed at less than 100 meters. Above 200 meters, the rate of occurrence decreased rapidly.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common kestrel was highest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followed by Gyeongsangbuk-do, Kyonggi-do, Jeollanam-do and Jeollabuk-do. As urban areas, green areas, commerc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the presence of s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kestrels,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kestrel was higher in those regi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kestrels and housing construction or residential areas.

KEYWORD
전국자연환경조사 ,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 고도 , 충청남도 , 도시 면적 , 녹지 면적
  • Ⅰ. 서론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지정된 천연기념물 야생동물 70종 중 46종(65.7%)이 조류에 해당될 만큼 조류는 한국의 천연기념물 야생동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강정훈 등 2008; 문화재청 2017). 그 중요성을 토대로 문화재청은 천연기념물 조류에 대한 보호 및 관리에 대한 연구를 위해 표본과 구조 현황 등 생태적 자료를 기록한 ‘천연기념물 조류 분포·이동경로도 및 보호대책(문화재관리국 1999)’, 특정 종 및 서식지를 목표로 현황과 관리방안을 추적 연구한 ‘천연기념물 제419호 강화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의 조류 모니터링 조사(문화재청 2001a)’,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조류의 전반적인 실태와 관리방안을 모색한 ‘천연기념물 조류 번식지의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보고서(문화재청 2001b)’, 조류를 포함한 천연기념물 동물 전체 자원에 대한 현황과 자원 확대 확보를 목적으로 담은 ‘천연기념물(동물) 지정 확대를 위한 자원 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12)’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와 F. t. tinnunculus의 두 아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한국조류학회 2009; Kim et.al. 2013) 황조롱이(Common Kestrel)는 문화재청에서 1982년 11월 20일에 천연기념물 제323-8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문화재청 2018).

    위와 같은 문화재청의 노력과 더불어 현재 환경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전국 단위 자연환경조사(지형, 식생, 식물상, 저서대형무척추동물, 육상곤충, 담수어류,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총 9개 분야에 대해 「자연환경보전법」 제3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5년 주기 수행; 제1차 전국자연환경조사 1986~1990년,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1997~2005년,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2006~2012년,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2013~2018년 수행)에서 황조롱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종(좌표기재종)으로 기록되어 있다(환경부 2012). 이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결과는 국토의 보전과 개발계획 수립에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다. 황조롱이는 전국적으로 관찰이 용이한 텃새로 토지 유형 중 거주지에서 관찰이 용이하고 환경영향평가서에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법정 보호 야생 조류이다(노백호 등 2010). 그런 이유로 도심에 적응이 뛰어난 황조롱이와 같은 맹금류 또는 개발 압력에 가까운 지역에서 서식하는 법정 보호종의 특징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이에 황조롱이는 개발에 대한 압력과 보호·관리에 대한 경계선에서 가장 시급히 연구되어야 할 법정 보호종으로 판단된다.

    이에 우리는 본 연구에서 황조롱이의 최근 10년간 전국적인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 기록된 지점을 중심으로 황조롱이의 분포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황조롱이의 보전 및 관리에 대한 활용을 기대한다.

     

    1. 연구 방법

    1) 데이터 수집

    황조롱이 관찰 자료는 2008~2017년에 실시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결과(2008~2012년, 2014~2017년)와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Korean Natural History Research Information System, KNHRIS)의 관찰 기록(2013~2016년)을 GPS 자료로 수집하였다.

     

    2) 분석

    공간 분석에는 QGIS 2.14.6을 활용하여 국토지리정보원에서 2017년 수령한 해발고도 자료를 활용하여 황조롱이의 GPS 좌표로 확인된 고도와 행정구역을 추출하였고 ‘Ⅷ. 건설·주택·토지-DT201708’(통계청 2017)에서 확인된 도시계획 현황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20.0 버전을 활용하여 황조롱이의 출현율과 고도관계는 16진수로 구간화된 산점도로 분석하였고, 행정구역별 상관관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후 유의미한 요인들에 대해 SPLOM(Scatterplot Matrix)으로 시각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Ⅱ. 본론

       1. 우리나라 최근 10년(’08~’17) 황조롱이의 전국 분포 현황

    우리나라에서 최근 10년간(2008~2017년) 확인된 황조롱이 기록 지점 수는 4,407개였다. 전국자연환경조사 2008~2012년, 2014~2017년에는 3,899번의 관찰이 기록되었으며, 국립중앙과학관의 KNHRIS에 등록된 2013~2016년에는 508번의 관찰 기록이 확인되었다(그림 1).

       2. 고도와 황조롱이의 상관관계

    황조롱이의 출현 기록을 고도별 100m 단위로 13단계로 나누었고 그 결과 황조롱이는 0~1,200m 고도 수준에서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 횟수는 고도 0~99m 내에서 3,220번으로 가장 높았고 100~199m에서 682회, 200~299m에서 241회 순으로 고도가 올라갈수록 황조롱이의 출현 횟수가 줄어들었다(표 1). 위 결과를 출현 횟수와 고도의 관계로 분석해본 결과 일정 고도 이상 올라갈수록 황조롱이 출현 횟수가 감소(t=-0.393, P<0.01)하는 것을 음의 상관관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황조롱이는 고도 100m 미만에서 가장 많은 수가 분포하며 200m 수준 이상으로 올라갈수록 출현율이 급격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그림 2).

    [표 1] 고도 범위별 출현 횟수

    label

    고도 범위별 출현 횟수

       3. 행정구역별 황조롱이의 출현율

    도심에서 적응해 살아가는 황조롱이의 특성상 행정구역별로 확인할 결과 전국의 황조롱이 출현율은 충청남도와 경상북도가 16% 수준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그 뒤로 경기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순으로 나타났다. 황조롱이의 출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특별시로 확인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부터 전체 광역시에서 1% 미만의 출현율을 기록하였다(그림 3).

    황조롱이의 출현율을 도시계획 요인과 토지 유형(주택 건설 면적, 도시 면적, 주거지 면적, 상업지 면적, 공업지 면적, 녹지 면적, 미지정 면적)에 따라 분포 특징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녹지 면적(P<0.01)뿐만 아니라 도시 면적과 공업지 면적이 크고(P<0.01), 상업지 면적(P<0.05)이 클수록 유의미하게 더 높은 출현율을 기록하여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토지 유형 측면에서는 녹지와 도시, 공업지 및 상업지 면적에 대해 출현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황조롱이 출현율과 주택 건설 면적, 주거지 면적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2, 그림 4).

    [표 2] 2017년 기준 행정구역별 도시계획 통계 현황과 황조롱이 출현율의 상관관계

    label

    2017년 기준 행정구역별 도시계획 통계 현황과 황조롱이 출현율의 상관관계

    III.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323-8호 황조롱이의 분포는 도심지를 포함하여 해안, 강가, 도서지역 등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형태를 보였다(채희영 등 2009). 황조롱이는 유럽을 포함하여 인간의 주거 활동 지역인 도시에 가장 잘 적응한 맹금류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Riegert et.al. 2010). 이에 도로건설사업 등 도심 개발을 할 때 환경영향평가서에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법정 보호 야생 조류로, 도심을 주로 이용하는 인간과 생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종으로 거론되기도 한다(노백호 등 2010). 조류는 일반적으로 먹이에 의한 이동과 분포를 한다. 황조롱이의 먹이 의존도는 작은 설치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Geng et.al. 2009; Korpimäki 1985) 설치류는 인간의 생활권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Yoon et.al.2004; IUCN 2018; Park et.al. 2018). 이에 황조롱이의 분포가 고도 100m 미만에서 상대적으로 집중되는 것은 이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계획 요인인 도시 면적과 녹지 면적, 상업지 면적, 공업지 면적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난 것은 황조롱이의 도시에 대한 적응력이 높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Riegert et.al. 2010), 그것과 더불어 주 먹이원인 설치류가 인가와 농경지 등 들녘에서 넓게 분포하므로 도심에서 서식하는 황조롱이 역시 먹이 활동을 위해 먹이원이 서식하는 먹이터를 활동 반경으로 서식하기 때문이다(Cramp and Simmons 1987; Korpimäki 1985). 이번 연구를 통해 서울을 포함한 완전한 도심지로 개발된 각 광역시에서 황조롱이의 출현율이 낮고 강원도 등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고도가 높은 산림지역에서도 출현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황조롱이의 서식지 유형 특성은 100m 수준의 고도로 비교적 높지 않고, 도시 면적과 녹지 면적, 상업지 면적, 공업지 면적이 넓게 고루 분포하는 지역에서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토지 이용 유형의 변화와 도시화가 미치는 황조롱이의 서식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수반된다면 이번 기초자료를 토대로 실질적인 환경 영향에 따른 황조롱이의 서식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1. 2008 한국의 천연기념물 조류의 현황과 서식실태 [한국조류학회지] Vol.15 P.73-84 google
  • 2. 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P.188 google
  • 3. 1999 천연기념물 조류 분포ㆍ이동경로도 및 보호대책 P.227-232 google
  • 4. 2001a 천연기념물 제419호 강화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의 조류 모니터링 조사 P.115 google
  • 5. 2001b 천연기념물 조류 번식지의 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보고서 P.203 google
  • 6. 2012 천연기념물 지정 확대를 위한 자원 조사보고서 P.165 google
  • 7. 2017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P.64 google
  • 8. 2009 한국의 맹금류 P.110-152 google
  • 9. 2009 한국조류목록 P.18-19 google
  • 10. 2012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P.431-456 google
  • 11. 1987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google
  • 12. 2009 Diet and prey consumption of breeding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 in Northeast China [Progress in Natural Science] Vol.19 P.1501-1507 google cross ref
  • 13. 2018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6-3) google
  • 14. 2013 Summer Record of Falco tinnunculus tinnunculus in Korea [한국조류학회지] Vol.20 P.79-81 google
  • 15. 1985 Diet of the Kestrel Falco tinnunculus in the breeding season [Ornis fennica] Vol.62 P.130-137 google
  • 16. 2018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 of Tscherskia triton(Rodentia; Cricetidae) in Jeju Island, Korea [Environmental Biology Research] Vol.36 P.412-423 google cross ref
  • 17. 2010 Genetic variability, body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parameters of neighbouring rural and urban common kestrel (Falco tinnuculus ) populations [Population ecology] Vol.52 P.73 google cross ref
  • 18. 2004 The mammals of Korea P.274 google
  •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google
  • 20. 통계청 홈페이지 ‘Ⅷ. 건설·주택·토지_DT201708 google
  • 21.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최근 10년간('08~'17) 황조롱이 분포 현황.
    최근 10년간('08~'17) 황조롱이 분포 현황.
  • [ 표 1 ]  고도 범위별 출현 횟수
    고도 범위별 출현 횟수
  • [ 그림 2 ]  고도별 황조롱이 출현 빈도.
    고도별 황조롱이 출현 빈도.
  • [ 그림 3 ]  최근 10년간 행정구역별 확인된 황조롱이 출현율(%).
    최근 10년간 행정구역별 확인된 황조롱이 출현율(%).
  • [ 표 2 ]  2017년 기준 행정구역별 도시계획 통계 현황과 황조롱이 출현율의 상관관계
    2017년 기준 행정구역별 도시계획 통계 현황과 황조롱이 출현율의 상관관계
  • [ 그림 4 ]  황조롱이와 녹지, 공업지, 도시, 상업지 면적의 SPLOM(Scatterplot Matrix).
    황조롱이와 녹지, 공업지, 도시, 상업지 면적의 SPLOM(Scatterplot Matrix).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