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nalyzing and Prospecting for the Future of the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s in Seoul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by literature review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programs in practice in Seoul Metropolitan C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 users, and managerial aspec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n we investigated their rates to total number of programs in order to identify trends in years. There were two interesting points as follows: experience-centered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ncreasing in terms of the subject, and participation-oriented programs in terms of managerial aspects has also been increasing. The results led us to suggest strengthening the programs in those categories for future planning on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s.

KEYWORD
공공도서관 , 문화행사 , 도서관프로그램 , 문화서비스 , 도서관서비스
  •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도서관은 사회를 바라보는 눈과 같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도서관이란, 특정 시대 특정 사회의 지식 문화가 집약된 곳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도서관을 통해 사회는 더욱 성장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찍이 19세기 성직자인 George Dawson은 “위대한 도서관은 인류의 일기를 수용하고 있다”1)는 말로 도서관은 반드시 사회 속에서 존재해야 함을 표현하기도 했다.

    근래의 도서관은 해당사회가 생산하는 사회 문화를 담고 있는 자료의 수집 및 배포라는 기본적인 의무 이외에 정보기술의 혁신적 발달과 더불어 발생한 정보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도 민감하게 대처해야 하는 등 내․외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이정미 2013).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회와 이용자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 있어서도 변화가 당연하다는 주장이다.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이용자와 정보기술의 변화 뿐 아니라 해당 사회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이용자의 변화에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는 측면에서 더욱더 사회변화에 민감해야 하는 기관이다.

    도서관과 사회의 연관성과 중요성은 역사적 명언들 속에서만 피력되는 것은 아니며 현대의 많은 학자들 또한 사회와 도서관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더욱더 긴밀한 연관성 안에서 공공도서관의 자리매김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조찬식(2008a)은 사회의 발전과 함께 공공도서관의 중요성은 증가되어 그 사회의 문화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해당 사회의 사회⋅문화적 발전을 유도하게 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사회문화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대 사회에서 도서관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공공도서관의 사회⋅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많은 공공도서관은 자료의 수집 및 배포라는 도서관의 기본 기능과 함께 도서관의 문화적 기능을 더욱더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평생교육의 증진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실천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이런 현실은 많은 연구에서 문화행사 업무가 공공도서관의 핵심업무라는 인식을 정착시켰으며 이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방안도 고민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기도 했다(안인자, 황금숙 2008).

    문화 관련 기관에서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어찌보면 그와 유사한 문화행사를 도서관에서도 제공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논란과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실제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이나 문화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관으로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주민들에 대한 문화 및 교육서비스가 더욱 강조될 필요성이 있는 것도 당연하다 할 것이다(김홍렬 2004).

    경제가 어려워지면 공공도서관의 사용자수는 늘어난다는 통계치가 있듯이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문화 및 복지 증진이나 소외 계층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균형잡힌 사회복지 확립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학자 세라(Jesse Hauk Shera)는 일찍이 사서직을 역사와 사회가 맺는 관계 속에서 이야기하고 있으며, 도서관학을 ‘사회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의 토대 위에 두려고 노력하였다(남태우 2003). 이는 문헌정보학과 도서관 연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도서관과 사회와의 관계, 그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런 이유들 때문에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란 하기 힘들고 많은 장애물을 가지고 있으나 사회 속에서 존재하며 사회 속에서 성장하는 도서관이라는 기관의 존재이유 때문에 간과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최근 몇 년간 공공도서관이 운영하고 있는 문화행사는 어떠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가? 이는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를 통한 사회와의 밀접한 관계 확립을 위해서도, 문화행사의 의의와 방향성 제고를 위해서라도 확인해봐야 할 문제이다. 막연히 해야만 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모습은 어떠하며 이후 방향성은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하는, 이를 통해 어떻게 문화행사를 더욱 확대 증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공공도서관에 있어서의 장단기 비전 수립을 위한 첫걸음이라 할 것이다.

       1.2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질문을 제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질문 1 -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별 분석 형태는 어떠한가? 연구질문 2 - 서울시 공공도서관이 최근 6년간 운영한 문화행사의 현황과 유형별 변화 추세는 어떠한가? 연구질문 3 - 최근 6년간 운영된 서울시 문화행사의 변화 추세 분석을 통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운영 방향은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가?

    2. 이론적 배경

       2.1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의의

    각국의 모든 도서관이 공공도서관의 기본기능인 자료 수집과 배포중심의 활동 뿐만 아니라 해당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어도 도서관 시설 및 설비를 이용해 해당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꾀할수 있는 정보문화센터로의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Davis 1974, 24).

    공공도서관이 운영하는 문화행사의 의의는 UNESCO의 공공도서관 선언문(UNESCO 1994)에서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선언문에 따르면 공공도서관은 개인과 사회집단들의 평생학습, 독자적인 의사결정과 문화적 발전을 위해 기본적인 여건을 제공하는 지식 게이트웨이로서 언어적, 신체적 장애 등으로 인해 접근이 불편한 모든 이용자의 서비스 접근에 있어서 공평성을 유지한 가운데 지역사회의 요구나 여건에 기반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대한 전 세계 관계자의 다짐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는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황금숙과 그의 동료들은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발전방안에 대한 자신들의 연구(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에서 도서관 문화행사의 발전과정과 의의를 잘 정리하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영국이나 미국의 경우 19세기 중반부터 문화행사의 중요성이 역설되는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후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독서토론이나 영화감상토론, 전시회 등에서 벗어난 지역사회 주민들의 지식과 생활수준의 향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지원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공공도서관에서 문화 및 교육관련 프로그램은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요구 증가 추세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강화 측면에서 다양한 전략 수립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강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한 심층적 연구들은 1980년대부터 수행되어 1990년대 이후 활발해지기 시작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김홍렬 2004).

    국내의 경우 1990년대 중반 문화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공공도서관의 문화적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 공공도서관은 문화행사를 개설해 지역주민의 정보접근⋅활용 및 문화생활과 관련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더욱 확대하는 계기가 되기 시작했다(한국문화정책개발연구원 1995).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의의를 조명하는 연구들은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가 지역간 균형 발전에 미치는 이론적 관계를 살펴보고 그 현황을 살펴본 연구(조찬식, 노승희 2000)에서부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사회적 역할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이용훈, 심효정 2002), 변화하는 다문화, 소외계층에 대한 접근이나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바탕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방안(홍희경 2008; 장우권 2009; 안인자, 박미영 2011; 최상기 2009; 최상기 2012;곽동철 2005)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에서 공감하는 여러 가지 사회문화적 측면까지 다양한 시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용훈과 심효정(2002)은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사회적 역할 수행 방안에 대한 연구에서 21세기 우리나라의 주류 현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재조명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 사회는 정보사회로의 진입, 신자유주의 이념의 확산, 문화가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현실, 삶의 지역화 또는 지방자치제의 정착과 평생학습사회 개념의 확산이라는 다섯 가지 경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고려할 때 공공도서관은 정보제공과 평생학습 지원, 문화활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앞서 제시한 연구에 이어 공공도서관을 활용해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후속연구에서 심효정과 이용훈(2003)은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지역문화 발전을 이끌어 낼 것이라는 사회적 기대를 바탕으로 도서관에서의 다양한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며 공공도서관은 공교육과 연계해 다양하고 수준있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을 경주해야할 것이라 역설했다.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해 곽동철(2005)은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을 주목하며 많은 공공도서관들이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다양한 기능과 함께 평생학습관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주변 여건은 이런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기에 그리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에 대한 또 다른 연구(홍희경 2008)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가 확산되고 지식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기본적인 역할이라 할 수 있는 정보제공기능과 평생학습 기회 제공기능, 디지털 문화 체험의 공간이라는 기능에서 더 나아가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요구사항이나 문화수준, 지역적인 특성 등을 고려한 가운데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개척하고 확대하며 특성화라는 과정을 거쳐서 해당 도서관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렇듯 많은 연구들이 공공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사회적 역할 수행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도서관 고유 정체성에 대한 고민도 없지 않았다. 이런 여건 속에서 도서관 고유정체성에 부합하면서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의 하나로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 연구(최흥식, 서진순 2009)도 나타났으며 이 연구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이라는 용어를 공공도서관의 여러 가지 목적을 대변할 수 있는 용어로서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는 공공도서관의 교육과 문화적 기능을 달성하려는 방향과 유사함을 지적함과 동시에 공공도서관의 다양한 문화행사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을 지역문화와 연관해 풀어간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다. 공공도서관이 지역과 함께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그 존재이유가 있기 때문에 해당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개성있는 도서관체계가 필요함을 역설하면서 전남지역 고유의 지역문화 콘텐츠를 해당 지역 공공도서관이 어떻게 관리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에서 이 콘텐츠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논한 장우권(2009)의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지역문화의 고리를 엮는 특색있는 연구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다른 종류의 연구는 다문화서비스, 아웃리치서비스 등과 같이 우리 사회⋅문화의 변화를 경험하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도서관의 문화행사들은 도서관 장서나 멀티미디어 자료와 같이 인류의 문화를 기록⋅보관하고 전달하는 매체의 다른 이름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는 기반하에 국내외 다문화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안인자, 박미영 2011)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문화적 다양성이나 다문화주의와 같이 우리사회가 당면한 변화를 담아내는 것은 공동체로서의 인간사회를 이해하는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학습 문화 정보센터라는 도서관 본연의 역할이나 그 기능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는 것이라 하겠다.

    유사한 맥락으로 우리 사회의 소외된 계층에 공공도서관이 먼저 다가가자는 취지하에 공공도서관의 아웃리치서비스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문화인, 장애인, 어린이 및 청소년, 정보취약계층서비스 등에 대해 살펴본 연구(최상기 2012)가 존재하는데 아웃리치서비스란 도서관이 지역사회를 도서관이나 도서관이용으로 흡수하기 위해서 도서관내외부에서 특정한 이용자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폭 넓은 활동(최상기 2012)이라 정의하며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에의 도입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경란(2013) 또한 유사하게 공공도서관을 지역사회의 지적․문화적 인프라로서 이해하고 이용자가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무료로 이용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커뮤니티센터로서의 역할처럼 지역주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하고 폭 넓은 문화행사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 주장하고 D광역시 4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이용조사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경영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공공도서관과 다른 지역사회기관에서 제공하는 문화행사를 비교한 가운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 및 문화행사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감미아, 이지연 2013)에서 연구자들은 공공도서관의 핵심적인 서비스 중 하나인 문화행사가 운영에 있어 다른 기관과 중복된 형태로 진행된다면 부족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로 공공도서관이 다른 기관과 중복된 행사를 많이 진행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효율적인 자원 활용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정보요구에 부합하는 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를 가지고 있다. 그 존재자체가 지역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지식을 제공하는 지역 게이트웨이로서의 역할을 하며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최상의 조건을 제공하고, 또한 개인과 사회 단체의 문화적 발전과 독자적인 의사결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의무는 공익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며 이 의무는 자연스럽게 교육적인 의무가 부각된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운영도 이렇듯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의무 측면에서 경제적 차원의 이익보다는 공익적 차원에서의 공헌이라는 사회적 역할 측면에서 먼저 이해되어야 하고 그 안에서 의의가 존재한다.

       2.2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

    아주 간단히 문화행사란 자료중심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칭되는, 도서관의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정의될 수 있다(정혜경, 정은주 2008).

    같은 맥락에서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에 대해 연구해왔으나 문화행사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연구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헌을 통해 살펴본 대부분의 연구들은 특정한 구분기준을 따른다기 보다 해당 문화행사의 특성에 따른 구분이라는 다소 모호한 기준에 따라 문화행사를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를 다룬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구분기준에 대해 분석 결과 크게 세 가지 구분기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기준들은 도서관의 문화행사를 주제별로 구분하거나, 대상이용자에 따라 구분하거나 또는 운영형식에 따라 구분한 세 가지 기준이다.

    다음 2.2.1부터 2.2.3은 문화행사를 앞서 제시한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구분기준에 따라 연구에 적용한 각각의 선행연구들을 정리한 것이다.

       2.2.1 문화행사의 주제별 구분

    도서관의 문화행사 유형에 대한 연구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이 바로 이 주제별 구분에 따른 유형분석연구이다.

    심효정과 이용훈(2003)은 여러 가지 연계 프로그램의 모델을 독서감상회나 독서주제발표회 등 독서 관련행사들을 모은 독서프로그램, 도서나 주제별 검색과 연관된 정보검색프로그램, 미술, 음악, 문화유산등에 대한 강좌강습회와 전시회, 영화나 음악의 감상과 공작 등이 포함된 문화예술응용프로그램의 네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김홍렬(2004)은 공공도서관의 문화교육프로그램을 특성에 따라 교육적인 프로그램과 문화행사프로그램으로 크게 구분한 후 어학정보, 예술교양, 건강취미분야, 지역사회기반전통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사회교육프로그램과 독서교육프로그램, 도서관이용교육프로그램, 도서관행사프로그램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시청각자료프로그램, 독서프로그램, 학술정보프로그램, 사회․교육프로그램이라는 다소 주제와 자료에 대한 구분을 함께 사용한 구분도 존재 한다(김길자 2007).

    문화체육관광부(2008)에 따르면 도서관 문화행사는 문화강좌, 문화행사, 독서교육 및 독서활동 이라는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문화라는 주제를 행사와 강좌로 구분했다는데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보여지는 구분이며 조찬식(2008b)은 이와는 조금 달리 문해교육, 시민교육 등 강좌와 다른 문화프로그램을 포함한 평생학습교실과 체육시설운영, 문화행사의 세 가지 구분으로 문화행사를 바라보고 있으나 이 또한 체육시설운영이라는 구분에서 주제와는 동떨어진 모호한 구분이라 판단되는 대목이다.

    평생교육기능과 관련한 구분으로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구분한 한국평생교육6진분류표가 있는데 이 분류표에서 제시하는 구분에서는 기초문해교육, 교과연계강좌를 포함하는 학력보완교육, 창업이나 자격증 획득과 관련한 직업능력교육, 문화예술교육, 상담⋅의료와 관련된 인문교양교육, 인권이나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시민리더양성을 위한 시민참여교육이라는 여섯 가지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분류하고 있다.

    도서관계의 구분에 있어서는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2009년에 제시한 여덟 가지 구분이 있는데 이 구분에는 독서프로그램, 교양프로그램, 직업⋅기술⋅전문 프로그램, 어학교육프로그램, 건강⋅보건 프로그램,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시민생활프로그램, 취미⋅여가프로그램이 포함된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최흥식과 서진순(2009)은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의 분석연구에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를 자료중심프로그램, 어학관련프로그램, 정보화관련프로그램, 가족생활관련프로그램, 예술관련프로그램, 전통문화관련프로그램, 기타프로그램이라는 일곱 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안인자와 그의 동료들(2009)은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자원봉사자 활동 현황을 분석하는 연구에서 독서프로그램, 취미교실프로그램, 언어교육프로그램, 다문화프로그램, 정보교육프로그램, 방과후프로그램이라는 여섯 가지 구분을 사용하고 있다.

    조인숙과 김수희(2010)는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위한 연구에서 문화행사의 실태를 어학강좌, 독서관련강좌, 생활문화강좌, 컴퓨터강좌, 향토문화강좌의 다섯 가지 구분을 적용해 분석하였으며 안인자와 박미영(2011)은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분석연구라는 연구의 특성에 따라 독서, 문화, 음악, 미술, 과학, 언어, 요리, 교육, 연극, 타문화체험이라는 열 가지의 문화행사로 구분해 문화행사를 살펴보았다.

    가장 최근 연구인 감미아와 이지연(2013)의 연구는 독서나 작가초청과 같은 독서⋅문예 프로그램, 영화나 음악회, 미술전시 등을 포함한 예술감상프로그램, 정보화교육프로그램, 노래교실이나 유명인 강연 등을 포함한 생활강좌․취미 프로그램, 심리⋅중독치료, 생활스포츠, 아나바다운동이나 자원봉사를 포함하는 주민참여형프로그램이라는 일곱 가지로 문화행사를 구분하고 있다.

    이렇듯 문화행사의 주제별 구분은 그 행사의 내용에 따라 크게 세 가지에서 자세하게는 열 가지로 다양하게 구분되어 연구에 적용되고 있으나 몇몇은 주제와 형식 등을 함께 구분에 적용하고 있는 양상이다.

    <표 1>은 문화행사를 주제별로 구분한 연구를 총괄 정리한 것이다.

    [<표 1>] 문화행사의 주제별 구분

    label

    문화행사의 주제별 구분

       2.2.2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구분

    문화행사를 구분하는 두 번째 유형은 해당 문화행사가 어느 이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했는가를 기준으로 구분한 연구들이다.

    조찬식 (2008a)은 자신의 연구에서 서울시 문화프로그램의 실태를 주제별, 봉사대상별, 미디어형태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는 유아/어린이, 청소년, 주부, 장년, 노인, 일반의 여섯 가지로 각 기관별 문화행사 수를 확인하고자 했다.

    곽철완과 그의 동료들(2009)은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에서 문화행사의 구분 안에 성인, 청소년, 어린이라는 세 가지로 대상이용자를 구분해 분석하였다.

    성인, 어린이, 청소년, 다문화가정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구분을 가진 연구(조인숙, 김수희 2010)도 있는데 이 연구에서 사용한 다문화가정이란 구분은 다른 세 가지 봉사대상과의 명확한 차이를 가진다고 보기 어려워 다소 모호한 기준이라고 여겨진다.

    (안인자와 박미영 (2011)은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중 다문화 프로그램의 사례에 대해 분석한 연구에서 그 봉사대상이용자를 어린이, 청소년, 성인, 주부, 노인, 가족, 기타의 일곱 가지구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상기(2012)는 아웃리치서비스 확대방안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다소 일반 문화행사와 차별성이 존재할 수 있는 구분으로 대상이용자를 다문화인, 장애인, 청소년, 어린이, 노인, 저소득층, 노숙인, 재소자, 커뮤니티라는 여덟 가지로 구분하였다.

    이경란(2013)은 설문조사에서 문화행사가 가장 필요한 계층을 분석하면서 유아, 어린이, 중고생, 일반, 어르신이라는 다섯 가지 대상이용자 구분기준을 사용하였다.

    <표 2>는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구분 연구들을 총괄 정리한 것이다.

    [<표 2>]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구분

    label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구분

       2.2.3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구분

    문화행사의 구분기준 중 마지막은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기준이다. 이 구분기준을 사용한 연구들은 대부분 해당 문화행사의 성격이 무엇인가에 따라 문화행사의 운영형식을 구분했으며 김종성과 엄미진(2010)의 유형 구분만이 문화행사의 형식과 참가자들의 참여형태를 고려해 구분했다는 점에 특색이 있다고 보여진다.

    심효정과 이용훈(2003)은 도서관과 공교육의 연계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공공도서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분석에서 문화행사의 유형을 독서회⋅독서지도, 강습회⋅강좌,강연, 전람․전시회, 감상회, 각종행사의 여섯 가지로 나누었는데 이는 강습회․강좌와 강연의 구분이 다소 모호할 뿐 아니라 전람, 전시회와 감상회의 차이 또한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소연(2004)은 경기도내 공공도서관문화서비스 유형 분석 연구에서 문화행사, 문화교육, 독서관련 동호회나 모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을 사용했는데 이 세 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많은 다양한 문화행사들의 포함여부가 불분명하기에 또한 문제점이 존재한다고 보여지는 구분이다.

    유사한 구분으로 문화(예술) 강좌, 독서진흥활동, 문화행사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으로 문화행사의 운영형식을 구분한 연구(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가 있으며 가장 간단히 문화강좌와 문화행사 두 가지로 구분한 연구(곽철완 외 2009)도 있는데 여기서 문화강좌는 특강/패널토론과 지도강좌, 워크샵, 시범강좌등이 포함되며, 문화행사에는 공연, 토론회, 영화상영등이 포함되어 사용되었다. 또 다른 유사 구분으로 안인자와 박미영(2011)의 구분기준이 있는데 이 구분은 문화강좌, 문화행사, 독서교육 및 행사의 세 가지 구분기준을 사용하였다.

    김종성과 엄미진(2010)의 유형 구분 기준은 그 분류에 있어서 문화행사의 형식과 참가자들의 참여형태를 중심으로 구분했다는 점에 특색이 있으며 장기간 직접 참여하여 활동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인 참여형프로그램,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도서관에 익숙해지게 하는 독서교실이나 도서관 견학등이 포함되는 체험형프로그램, 강좌형, 대회 형태로 운영되는 콘테스트형, 타 기관과 공공도서관이 협력해 진행하는 기관협력형의 다섯 가지 구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표 3>은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구분 연구들을 정리한 것이다.

    [<표 3>]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구분

    label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구분

    3.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별 분석 및 평가

       3.1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 구분기준의 설정

    2.2에서 검토한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유형을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을 사용해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세 가지 구분기준은 안인자와 박미영(2011)의 연구와 조찬식(2008a)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2008년의 연구에서 제시한 주제별, 봉사대상별, 미디어형태별의 구분 중 미디어형태별의 구분은 그 의미가 협소하다고 판단해 제외하였으며, 2011년 연구의 경우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로 구분한 것은 동일하나 각각의 유형에 포함되는 세부적인 문화행사의 구분은 달리 결론지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 구분은 분석에 사용한 문화행사 전체의 내용분석을 통해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 구분의 세부 포함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제별 구분은 가족생활교육, 독서교육, 시민체험교육, 예술교양교육, 정보화교육, 체육건강교육의 여섯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세부 포함사항은 <표 4>에 기술하였다. 서울열린데이터광장에서 제시한 문화행사 유형은 그 구분상주제별이라기 보다 형식적인 구분이 더 적합하게 구분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그 구분을 따르지 않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재조직한 것이다. 대상이용자는 행사에 참여하는 대상이용자의 종류별 구분으로 가족, 기타, 성인, 어르신, 어린이, 유아, 전체, 중고생, 학부모의 아홉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다소 모호할 수 있는 구분인 가족과 기타 구분에 있어서 부모나 조부모, 형제 등 가족구성원 중 두 명이상의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행사의 경우 가족으로, 딱히 특정 이용자 대상을 정하지않고 “~에 관심 있는 이용자” 등으로 대상을 정한 행사의 경우 기타로 구분하였다. 운영형식별 구분은 이용자의 입장에서 해당 문화행사와의 상호작용이 어떤 형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중심으로 구분하여 강좌형, 관람⋅관객형, 참여⋅체험형, 행사형이라는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세부 포함사항은 <표 4>의 다른 유형에 대한 세부사항기술과 함께 포함하였다.

    [<표 4>]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label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3.2 조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통계자료를 토대로 그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서울특별시 서울열린데이터광장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행사정보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자료에서 제공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6년간 58개 도서관, 2,765건의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의 행사에 대한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 구분을 내용분석을 통해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데이터는 SPSS 22를 사용해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 후 시각적 편이를 위해 각종 그래프는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해 작성하였다.

       3.3 유형별 분석

    2008년부터 2013년 말까지 최근 6년간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된 문화행사의 총 건수는 2,765건이었으며 2008년 838건, 2009년 501건, 2010년 460건, 2011년 282건, 2012년 264건, 2013년 420건으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3년 대폭 증가했으나 그 수는 2008년의 절반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 구분을 적용한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현황은 다음 3.3.1부터 3.3.3에서 도표와 그래프를 함께 제시하였다.

       3.3.1 주제별 운영현황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6년간의 문화행사 전체를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프로그램은 예술교양프로그램으로 총 58%(1,614건)를 차지했다. 독서교육프로그램이 28%(782건)로 뒤를 이어갔으며 가족생활교육이나 시민체험교육 프로그램은 5-6%, 정보화교육과 체육건강교육은 각각 1%로 차지하는 비율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최근 6년간 주제별 문화행사 총 현황

    label

    최근 6년간 주제별 문화행사 총 현황

    이를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독서교육,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은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상당부분(최소 70%에서 85% 정도)을 차지하는 중요한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고 있었으며 나머지 15%에서 30%를 다른 네 개의 프로그램이 자리잡고 있었다.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의 경우 그 변화추세가 특별한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없는 것이었으며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의 경우 평균 1% 정도이다가 2013년 들어 2.4%로 증가했다. 시민체험교육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최근 1-2년 들어 그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별 교육프로그램들의 최근 6년간 연도별 변화추세는 <표 6>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표 6>] 연도별 문화행사의 주제별 변화(2008년-2013년)

    label

    연도별 문화행사의 주제별 변화(2008년-2013년)

       3.3.2 대상이용자별 운영현황

    문화행사를 대상이용자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용자는 성인, 어린이, 전체로 총 7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중고생, 학부모가 각각 7-8% 정도, 기타, 어르신, 유아는 1-2% 정도로 미미한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표 7>]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문화행사 총 현황

    label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문화행사 총 현황

    대상이용자별로 살펴본 연도별 문화행사의 변화 추세는 연도별로 변동이 있기는 하였으나 그 변동이 특정한 형태를 가지거나 특이할 만한 사항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찾을 수 없었다. 연도별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변화추세는 <표 8>에 기술하였다.

    [<표 8>] 연도별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변화(2008년-2013년)

    label

    연도별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변화(2008년-2013년)

       3.3.3 운영형식별 운영현황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현황을 살펴보면 관람관객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비율이 강좌형과 참여체험형의 28%, 24%에 10%정도 높은 비율인 37%로 나타났으며 행사형은 11%를 차지하고 있었다(<표 9> 참조).

    [<표 9>] 최근 6년간 운영형식별 문화행사 총 현황

    label

    최근 6년간 운영형식별 문화행사 총 현황

    총 6년간의 문화행사를 운영형식별로 살펴본 변화는 흥미로운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처음 4년의 변화는 각 운영형식별로 그다지 차이 없이 유사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2년과 2013년 2년간의 변화양상을 보면 관람관객형이 급격히 감소하고 참여체험형이 관람관객형의 비율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참여체험형의 경우 2008년 26%에서 이후 10% 후반대를 유지하다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8-10%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연도별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는<표 10>에서 살펴볼 수 있다.

    [<표 10>] 연도별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2008년-2013년)

    label

    연도별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2008년-2013년)

       3.4 분석 결과에 따른 평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문화행사의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 총 6년간 프로그램 운영 수와 비율, 연도별 운영 수와 비율은 앞서 3.3 유형별 분석에서 살펴본 것과 같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통계자료를 사용해 살펴본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첫째, 문화행사의 주제별 현황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이었으며 다른 문화행사 프로그램 중 정보화교육프로그램과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 체육건강프로그램이 그 비율 변화상 유심히 살펴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의 경우 평균 1% 정도이다가 2013년 들어 2.4%로 증가했는데 그 세부주제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첨단 컴퓨팅과 같은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글로벌 문화체험과 영어회화 등의 문화행사 기획으로 이어진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의 비율도 최근 1년간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민의식의 발전과 함께 다문화 사회의 출현 등 사회변화와 함께 하고자 하는 문화의식함양교육이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로 이어진 결과인 것으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은 최소 0%에서 6.4%까지 비율의 변동치가 가장 컸는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0.5% 이내의 미미한 비율을 차지했던 것이 2012년에 1.5%, 2013년에 6.4%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1년 이후 국내 일반인으로 부터의 관심이 늘어가고 있는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CHI: Consumer Health Services)에 대한 인식확산과 관련지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는 미국의 경우 1990년 중반부터 관심을 두며 계속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나 국내 공공도서관의 경우 아직까지는 활발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노영희 2011).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인 관심과 인식의 확산은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기획에 있어서 시발점이되었다고는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후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있어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의 비중이 증가는 계속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향후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를 기획하는데 있어 주제별 구분에서는 시민체험교육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림 1>은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독서교육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의 주제별 교육프로그램의 변화추세를 별도로 도식화하여 그 변화추세를 보기 쉽게 표현한 것이다.

    둘째, 대상이용자별 현황에 있어서는 그 변화추세에서 특이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셋째, 운영형식별 현황의 변화추세를 살펴보면 관람관객형이 감소하고 참여체험형이 매년 8-10%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웹 2.0, 도서관 2.0의 사회변화 추세와 동일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있어서도 이용자가 함께 참여하고 직접 만들어가는 문화로 정착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그런 이유 때문에 도서관도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참여․체험하는 문화행사의 기획에 있어 이용자의 직접적인 참여와 체험을 확대 증진시키려고 했던 노력의 결과라고 보여질 수도 있다. 이는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운영형식에서 참여체험형은 한동안 증가할 것이며 공공도서관 현장에서의 향후 문화행사 기획에 있어서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라 판단되는 대목이다. <그림 2>는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를 연도별로 도식화한 것이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으로 세 가지 연구질문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별 분석 형태를 살펴본 결과 공통되거나 명확한 구분기준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의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통계자료를 통해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 총 비율과 함께 연도별 변화추세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주제별 구분에서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의 비중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계속 될 수 있으리라 판단하고 운영형식별 구분에서 참여체험형 또한 그 증가추세를 유지할 것이라 판단했다.

    이러한 결과들 속에 향후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기획에서 주제별로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을, 운영형식별로는 참여체험형 프로그램을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 판단했다.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최근 현황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전국적인 현황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에 대한 이용자나 구성원의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 아니라는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나 이후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국적인 통계자료나 이용자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연구를 보완한다면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기획과 사회 속에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을 서울시 데이터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한 만큼 현상을 이해하는 것에 그 비중을 두고 있으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났는지에 대해서는 근거분석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차후 후속연구들을 통해 각각의 문화행사 사례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는 것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보는 부분이다.

참고문헌
  • 1. 감 미아, 이 지연 2013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P.197-215 google
  • 2. 곽 동철 2005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6 P.69-91 google
  • 3. 곽 철완, 안 인자, 김 호연, 박 미영 2009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0 P.197-208 google
  • 4. 국가평생교육진흥원. [online] google
  • 5. 김 길자 2007 대학도서관의 문화행사에 대한 사례연구 - S여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1 P.145-164 google
  • 6. 김 종성, 엄 미진 2010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P.39-56 google
  • 7. 김 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P.339-360 google
  • 8. 남 태우 2003 세라(Shera)의 도서관 인식론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0 P.199-230 google cross ref
  • 9. 노 영희 2011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P.415-437 google cross ref
  • 10. 2009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google
  • 11. 2008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google
  • 12. 서울열린데이터광장. [online] google
  • 13. 심 효정, 이 용훈 2003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P.153-177 google
  • 14. 안 인자, 곽 철완, 김 혜주, 박 미영 2009 국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활동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0 P.197-208 google
  • 15. 안 인자, 박 미영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P.279-301 google cross ref
  • 16. 안 인자, 황 금숙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325-344 google cross ref
  • 17. 이 경란 2013 공공도서관 이용조사를 통한 경영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P.5-30 google
  • 18. 이 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8 P.23-43 google
  • 19. 이 용훈, 심 효정 2002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사회적 역할 수행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3 P.155-167 google
  • 20. 이 정미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P.53-73 google
  • 21. 장 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 지역의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271-292 google
  • 22. 정 혜경, 정 은주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5 P.377-392 google cross ref
  • 23. 조 인숙, 김 수희 2010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P.31-42 google
  • 24. 조 찬식, 노 승희 2000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지역간 균형 발전에 관한 연구 [『도서관』] Vol.55 P.41-66 google
  • 25. 조 찬식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171-188 google
  • 26. 조 찬식 2008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25 P.159-178 google
  • 27. 최 상기 2009 대학도서관의 아웃리치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0 P.187-207 google
  • 28. 최 상기 2012 공공도서관 아웃리치서비스 확대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P.311-339 google
  • 29. 최 흥식, 서 진순 2009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P.227-242 google
  • 30. 1995 『공공도서관의 문화적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google
  • 31. 홍 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google
  • 32. 황 금숙, 김 수경, 박 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P.219-244 google
  • 33. Davis D 1974 Public Libraries as Culture and Social Center: The Origin of the Concept google
  • 34. Public Library Manifesto. [online]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문화행사의 주제별 구분
    문화행사의 주제별 구분
  • [ <표 2> ]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구분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구분
  • [ <표 3> ]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구분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구분
  • [ <표 4> ]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 [ <표 5> ]  최근 6년간 주제별 문화행사 총 현황
    최근 6년간 주제별 문화행사 총 현황
  • [ <표 6> ]  연도별 문화행사의 주제별 변화(2008년-2013년)
    연도별 문화행사의 주제별 변화(2008년-2013년)
  • [ <표 7> ]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문화행사 총 현황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문화행사 총 현황
  • [ <표 8> ]  연도별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변화(2008년-2013년)
    연도별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별 변화(2008년-2013년)
  • [ <표 9> ]  최근 6년간 운영형식별 문화행사 총 현황
    최근 6년간 운영형식별 문화행사 총 현황
  • [ <표 10> ]  연도별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2008년-2013년)
    연도별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2008년-2013년)
  • [ <그림 1> ]  주제별 변화(가족생활, 시민체험, 정보화, 체육건강교육)
    주제별 변화(가족생활, 시민체험, 정보화, 체육건강교육)
  • [ <그림 2> ]  운영형식별 변화
    운영형식별 변화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